한성숙 네이버 대표가 최근 불거진 최순실 '국정농단' 관련 검색어 삭제 논란에 대해 외부의 목소리를 귀담고 공개 논의를 거치는 등 투명성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성숙 대표는 11일 네이버 공식 블로그를 통해 검색어 관련 논란에 대한 입장을 이같이 밝혔다.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 검증위원회는 최근 발간한 '2016년 하반기 네이버 노출 제외 검색어에 대한 검증 보고서'에서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 관련된 연관 검색어를 당사자 요청 등에 따라 삭제했고, 이 중 일부는 삭제가 적절하지 않았다고 지적한 바 있다.
네이버는 이에 대해 KISO가 정책위원회의 정책 규정을 바탕으로 삭제를 수용했던 직전 사례인 'OOO-고영태' 건과 유사하다고 판단해 삭제했고, KISO의 심의에 준해 조치했다고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한 대표는 "생성된 검색어는 최대한 노출하는 것이 네이버의 원칙"이라면서 "음란·도박·마약 등 불법정보나 명예훼손 또는 사생활 침해를 일으키는 일부 검색어는 법령에 근거해 제한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 인터넷 서비스 기업으로의 고민도 토로했다. 한 대표는 "상충되는 가치 사이에서 적절한 기준을 찾는 것은 인터넷 기업이라면 모두가 필연적으로 안고 있는 숙제"라며 "하지만 개별 인터넷 기업이 이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에는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네이버의 외부 공개 노력에 대해 '논란만 키울 뿐'이라는 의견도 받고 있지만 회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노력은 투명성이라는 결론을 내렸다고 강조했다.
네이버는 국내 사용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기업 중 유일하게 연관검색어, 자동완성검색어 등 서비스의 투명성과 조치의 적절성에 대해 외부 검증위원회의 검증을 받고 있다.
한성숙 대표는 "하나의 정답을 찾기 어려운 문제인 만큼 네이버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노력은 검색어 제외 규정을 외부에 공개하고, 다시 외부 기관을 통해 검증받는 것"이라며 "그 결과를 공개해 다양한 외부의 목소리를 수렴해가는 과정을 멈추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