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삼성전자, SSD 시장 주도권 이어간다…'860 PRO·860 EVO' 시리즈 출시

삼성전자가 더 빨라진 속도와 안정성을 바탕으로 고용량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신제품 '860 PRO·860 EVO' 시리즈를 출시했다.

SSD 시장의 성장을 주도했던 '850 PRO·850 EVO' 시리즈를 선보인지 4년 만이다. '860 PRO·860 EVO'의 다양한 라인업과 높은 성능 등을 내세워 SSD 시장 주도권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가 최첨단 반도체 기술이 집약된 SSD 신제품 860 PRO·860 EVO 시리즈를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 중국, 독일 등 전 세계 50여개국에 동시에 선보인다고 24일 밝혔다.

삼성전자 SATA SSD '860 PROㆍ860 EVO'/삼성전자



860 PRO·860 EVO는 2014년 업계 최초로 3차원 V낸드를 탑재로 SSD의 대중화를 주도한 850 PRO·850 EVO 시리즈에 이은 후속작이다. 최신 64단 V낸드, 데이터센터급 MJX 컨트롤러, 10나노급 모바일 D램(LPDDR4) 등 최첨단 반도체를 탑재한 것이 특징이다.

SSD는 낸드플래시를 사용한 메모리 저장 장치로 하드디스크(HDD)보다 내구성이 좋고 속도가 빨라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빅데이터, 자율주행 등에 풍부한 시장성을 바탕으로 성장성이 주목받고 있다.

시장조사전문업체 IHS에 따르면 2016년 181억8000만 달러 수준이던 SSD 시장 규모는 2021년에는 241억달러로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에 삼성전자가 선보인 860 PRO·860 EVO는 4세대(64단) V낸드와 최신 10나노급 모바일 D램(LPDDR4)을 탑재했다. 이를 통해 연속 읽기·쓰기 속도 최대 560 MB/s·530 MB/s, 임의 읽기·쓰기 속도는 최대 100K IOPS·90K IOPS를 구현해 복잡한 멀티태스킹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한다.

또한 삼성전자가 자체개발 한 데이터센터급 MJX 컨트롤러를 채용해 윈도우에서 리눅스까지 OS 호환성을 확대했다.

내구성과 신뢰성도 한층 강화됐다. 특히 4TB 860 PRO는 업계 최대 4800 TBW(Terabytes Written)를 제공해 다양한 스토리지 시스템의 투자 효율을 높였다. 이는 FHD 영상(1920×1080, 5.0GB)을 5년간 매일 500편 이상 쓰고 지울 수 있는 수준이다. 보증기간은 최고 5년 다.

또한 860 PRO·860 EVO는 다양한 소비자 요구와 사용환경에 따른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총17개 모델로 출시된다.

860 PRO는 IT 전문가, 개인용 통신 서버(NAS) 및 워크스테이션 등에서도 소비자에게 뛰어난 성능을 제공하는 제품이다. 2.5인치 단일 폼팩터로 256GB부터 4TB까지 5가지 모델을 제공한다.

860 EVO는 더 나은 PC 성능을 원하는 개인 소비자용으로 2.5인치, M.2 및 mSATA 3가지 폼팩터로 250GB부터 최대 4TB까지 12가지 모델을 제공한다.

특히 860 EVO에는 강화된 인텔리전트 터보라이트 기능을 적용, 쓰기 동작에서 최고 속도 유지 구간을 850 EVO 대비 최대 6배 늘려 소비자 체감 성능을 극대화했다.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브랜드제품 마케팅팀 김언수 전무는 "그간 '850 PRO·850 EVO'가 높은 인지도와 신뢰성을 바탕으로 SSD 시장의 성장을 주도해 왔다"며 "이번 '860 PRO·860 EVO'는 성능 및 호환성을 한 단계 더 높여 일반 소비자 및 기업 고객의 만족도를 한층 더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