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반도체와 로봇으로 대변되는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이 지난해 우리나라의 새로운 수출동력으로 부상하면서 41만5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8대 신산업 수출의 일자리 창출 및 대중국 수출입 동향 분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8대 신산업의 수출은 2014년 478억 달러에서 2017년 736억 달러로 연평균 15.5%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3%에서 12.8%로 상승했다.
특히 지난해 8대 신산업 수출이 27.7% 증가하면서 41만5000개의 일자리를 만들었다. 수출 100만 달러 당 취업유발인원도 2014년 5.16명에서 2017년 5.63명으로 증가했다.
품목별 취업유발인원은 차세대 반도체가 가장 많고 수출 단위당 취업유발효과는 로봇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유발인원은 지난해 기준 차세대 반도체(18.8만 명), 차세대 디스플레이(8.0만 명), 에너지 신산업(4.5만 명), 바이오헬스(4.3만 명) 순으로 많았다. 수출 100만 달러당 취업유발인원인 취업유발효과는 로봇(10.9명), 전기차(9.7명), 바이오헬스(9.4명), 차세대 디스플레이(8.7명) 등으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신산업 수출은 분석 대상인 8개의 모든 품목과 일본을 제외한 세계 주요 지역에서 선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전기차(186.8%), 항공·우주(37.3%), 로봇(36.2%), 차세대 디스플레이(34.4%), 차세대 반도체(27.1%), 에너지 신산업(23.7%), 첨단 신소재(15.2%), 바이오헬스(13.7%) 등이 두 자릿수 이상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선진국 중 미국(29.2%)과 EU(34.6%), 신흥국 중 우리 기업들의 해외생산기지로 부상한 베트남(87.8%) 등 아세안(48.5%)과 인도(29.1%) 등으로 수출액이 크게 늘었다.
문병기 무역협회 동향분석실 수석연구원은 "신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고용을 창출해 나갈 수 있도록 4차 산업혁명 트렌드에 적합한 융·복합 소재·부품 및 제품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