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평창드라마' 숨은 주역은 ICT

마츠 그란리드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 사무총장이 KT 5G 홍보관 '5G 커넥티드'에 마련된 '아이스하키 챌린지'를 체험하고 있다. / KT



1218개의 드론이 하늘 위에 올림픽의 상징인 오륜 마크를 수놓는 등 최첨단 기술이 집합한 'ICT 올림픽'에 전세계가 극찬하고 있다.

지난 9일 평창 올림픽 플라자 내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린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획식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의 개회 선언, 축하 공연 등에 이어 드론 퍼포먼스가 진행됐다.

특히 1218대가 하늘을 난 드론 퍼포먼스는 전세계 최다 드론 공중 동시비행 기록을 세워 2016년 독일의 500대 드론 비행을 크게 뛰어넘으며 곧 기네스북에 등재될 예정이다. 이 같은 퍼포먼스에 대해 미국 주간지 타임은 "수천 개의 드론이 오륜기로 변신해 전 세계의 시청자들을 놀라게 했다. 확실히 인상적이었다"고 보도했다.

평창올림픽조직위에 따르면 이번 올림픽 기간 동안에 세계 최초 5세대(5G) 이동통신 서비스를 비롯해 편리한 사물인터넷(IoT), 초고화질(UHD),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서비스 등 우리의 최첨단 과학기술이 선보일 예정이다.

조직위에 따르면 정지 상태에서 다양한 각도의 화면을 제공하는 타임슬라이스, 실제 선수의 시점에서 경기 영상을 제공하는 싱크뷰, 중계 화면에서 특정 시점·위치를 골라볼 수 있는 옴니포인트뷰 등 5G 기술을 적용한 다양한 실감형 콘텐츠가 제공된다. 'GO 평창' 등 스마트폰 용 모바일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보다 편리하게 모바일로 올림픽을 즐길 수 있다.

이밖에 '스마트밴드'는 정밀 측위, NFC 센서를 적용한 앱 연동 웨어러블 기기로 '위치' 및 '상황인식' 기반의 사물인터넷(IoT) 편의 서비스 및 올림픽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키오스크(Kiosk)를 통해서는 경기장과 비경기장에서 마스코트 다국어 안내, 응원 투게더, 손글씨 응원하기, 포토투어, 나도 국가대표, 마스코트 따라 하기 등을 관람객이 체험하며 즐길 수 있다.

평창 ICT 체험관에서는 봅슬레이나 스노보드 등 동계스포츠 종목을 VR 시뮬레이터로 구현해 일반인들도 올림픽 종목을 가상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올림픽 현장 곳곳에 11종, 85대의 로봇도 투입되고 한국어, 영어로 된 간단한 질문에 응답하는 인공지능(AI) 콜센터도 구축됐다.

KT 황창규 회장과 마츠 그란리드 GSMA 사무총장을 비롯한 글로벌 ICT 리더들이 10일 강릉 올림픽파크에 위치한 KT 5G 홍보관 '5G 커넥티드(5G. connected.)'를 찾아 5G의 미래로 빠지는 듯한 영상서비스를 체험하고 있다. / KT



지난 8일부터 11일까지 3박 4일 일정으로 평창을 찾은 글로벌 ICT리더들은 5G 네트워크 기술이 적용된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과 쇼트트랙 경기 등 주요 올림픽 이벤트를 관람해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KT는 마츠 그란리드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사무총장, 요시자와 카즈히로 NTT도코모 사장 등 다수의 ICT 리더들이 강릉 올림픽파크에 위치한 KT 홍보관 '5G 커넥티드'에 방문했다 설명했다.

5G 커넥티드에 대해 글로벌 ICT리더들은 "5G 네트워크 기반으로 변화하게 될 도시의 청사진을 일반인도 이해할 수 있도록 알기 쉽게 표현했다"고 소감을 전했다.

특히 글로벌 ICT 리더들은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5G 네트워크 기반으로 진행된 '평화의 비둘기' 퍼포먼스에 대해 극찬한 것으로 전해졌다. 공연자들의 LED 촛불이 정확히 일치하도록 제어돼야 하는만큼 KT는 초저지연, 초연결이 가능한 5G를 활용해 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앱)과 시스템을 구축했다. 또 KT는 공연에 쓰인 성화봉 모양의 LED 랜턴도 제공했다.

이와함께 쇼트트랙 경기에 100여대의 카메라가 동시에 촬영하고 이 영상이 5G 단말로 실시간 전달되는 '타임 슬라이스' 중계 기술이 적용된 것과 관련, KT가 5G 기술로 올림픽 경험 방식을 바꿨다고 글로벌 ICT 리더들은 평가하기도 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