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평창 선수촌에서 데이팅 앱 '틴더' 사용량 급증

'틴더' 로고. / 틴더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 이후 선수촌에서 소셜 데이팅 애플리케이션(앱) '틴더(Tinder)' 사용량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틴더는 전세계 196개국에서 이용되고 있는 위치 기반 글로벌 소셜 앱이다. 근처에 위치한 사용자들의 프로필이 마음에 들거나 관심이 있으면 오른쪽으로 스와이프, 관심이 없다면 왼쪽으로 스와이프하는 것이 특징이다. 쌍방으로 호감을 표시한 사용자끼리 매칭되면 앱 상에서 대화가 가능하다.

17일 틴더는 지난 9일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 이후 선수촌에서의 틴더 사용량이 일일 평균 348% 증가했다고 밝혔다. 틴더 앱 사용 방식을 기준으로 분석하면, 상대에 대한 호감 여부를 선택하는 스와이프(swipe, 화면을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쓸어 넘기는 동작)의 전체 수는 571%, 오른쪽으로 스와이프해 호감을 표시한 수는 565%, 매칭 수는 644% 증가했다.

특히, '패스포트(Passport)' 기능을 사용해 자신의 위치를 선수촌으로 설정한 사용자 수는 185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패스포트' 기능을 이용한 사용자의 국가 별 비율은 미국이 가장 높았으며, 스웨덴, 영국, 캐나다, 스위스가 그 뒤를 이었다.

틴더는 지난 2014년 소치에서도 사용량이 급증한 바 있다. 미국의 스노보드 스타이자 여자 스노보드 슬로프스타일 금메달리스트인 제이미 앤더슨은 당시 US 위클리와의 인터뷰에서 선수들이 애용하는 앱으로 틴더를 꼽기도 했다.

한편, 틴더는 지난 9일부터 2주간, 선수촌 내 사용자들에게 프리미엄 유료 서비스인 '틴더 골드'의 무료 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틴더 골드 서비스는 '무제한 좋아요', '되돌리기', '나를 좋아한 사람 보기', '패스포트'와 같은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