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MWC 2018] KT, 세계 최초 5G 알린다

KT의 모델들이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MWC 2018에 참가하는 KT를 홍보하고 있다. / KT



KT는 26일부터 3월 1일(현지시간)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이동통신박람회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18(MWC 2018)'에서 '세계 최초 5G, KT를 경험하라'를 주제로 5G 기술과 융합 서비스를 선보인다.

KT는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의 공동관인 '이노베이션 시티'에 화웨이, 투르크셀, 재스퍼 등 글로벌 기업들과 함께 참여한다.

KT 전시관은 크게 세계 최초 5G 네트워크와 서비스를 소개하는 '5G 존'과 첨단 융합서비스를 소개하는 '서비스존'으로 구성된다.

'5G 존'은 KT가 그 동안 세계 최초 5G 기술을 준비해온 과정과 5G 네트워크 기반의 서비스를 소개한다. 실제 5G 단말을 전시해 4G 네트워크와 비교한 5G 네트워크의 빠른 속도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5G 시범망에 적용된 5G 통합제어체계를 소개한다. 여기에는 다양한 5G 서비스 네트워크를 가상화 기반으로 신속하고 설치하고 유연하게 관리하기 위한 '5G E2E 인프라 오케스트레이터' 기술이 적용됐다.

이 밖에 KT가 삼성, 노키아, 에릭슨 등 글로벌 리딩 제조사들과 공동 개발한 KT 5G SIG 규격과 NR(New Radio) 규격 기반의 5G 기지국 장비를 전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여러 대의 드론이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합성해 송출하는 5G 방송 중계도 시연한다. 축구장 모형을 촬영하는 시연은 5G의 특성인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성을 한 눈에 보여준다.

일반에 최초로 공개되는 완전 무선 가상현실(VR) 게임도 만날 수 있다. 그 동안 VR 게임은 고사양의 PC를 직접 착용하고 유선 HMD(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단말기를 이용해야 했으나 KT는 독자 무선VR 전송기술인 VR 워크스루 기술을 적용해 게임 콘텐트를 원거리 서버에서 실행하고, 휴대폰 기반 HMD로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했다. 또 KT가 특허를 가지고 있는 '흔들림방지'기술로 VR 무선화 시 발생하는 화면 떨림을 최소화해 어지러운 증상을 개선했다.

'서비스존'에서는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할 다양한 융합서비스를 소개한다.

KT의 '블록체인'은 복수의 체인을 생성하는 미니체인 기술을 도입해 데이터의 고속, 병렬처리로 대용랑, 비정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위·변조 없이 안전하게 보관한다. 이 기술은 BC카드의 전자문서관리시스템에 적용돼 운용비용을 절감하고 시스템의 효율성을 증대한다.'기가 드라이브'는 5G 기반 자율주행 시대를 위한 차세대 IVI(차량내 인포테인먼트)전용 플랫폼이다. 복합명령어를 지원하는 '스마트 AI' 기능은 음성으로 목적지, 경유지, 교통 현황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심리스' 기능으로 모바일과 IVI를 연동해 일정, 약속 장소 등을 자동으로 설정한다.

'기가아이즈'는 국내 최초 지능형 영상보안 플랫폼으로 클라우드 기반 지능화를 추구하고 있다. CCTV 영상과 IoT 융복합 상황인지로 이벤트 분석과 정확한 알람을 제공한다. 보안뿐만 환경 감시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 가능한 오픈 플랫폼이다. 'AI 네트워킹'은 인공지능 기반의 네트워크 장애 예측 시스템으로 KT가 2월에 선보인 5G 시범망에도 적용해 운용하고 있다.

이밖에도 통신 신용등급 플랫폼 '케이 델코 스코어', 소물 인터넷 기반 위치 트래킹 서비스인 '키즈 트래커', 스마트엔지 통합관제 플랫폼 'KT-MEG' 서비스를 볼 수 있다.

KT 미래융합사업추진실장 윤경림 부사장(왼쪽 첫번째)이 GSMA SG(Strategy Group)에서 2018년 2월 선보인 5G 시범서비스를 주제로 KT의 5G 기술과 시범서비스 성과를 발표하고 있다./ KT



아울러 KT는 함께 전시에 참여하는 협력사의 해외 진출을 위한 지원과 함께 다양한 글로벌 업체들과 미팅을 통해 협력을 강화하고 사업 확장을 모색한다.

KT는 작년에 이어 5개 동반성장 업체의 해외 진출을 전시 공간을 마련했다. 전시장 전면에 배치한 '스내처 AI'의 5G 방송중계 서비스를 비롯해 '에프알텍(FRTek)'의 5G 서비스망 적용 장비인 5G DAS, '맥스트(MAXST)'와 '버넥트(VIRNECT)'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원격지원 AR 영상통신 서비스, 다양한 보안 서비스에 적용 가능한 '아이리시스(IRISYS)'의 홍채·얼굴 인식 솔루션이 전시된다.

글로벌 사업 확대를 위해서는 아프리카개발은행과 베냉 정부 고위급 인사를 만나 협력체제를 강화한다. 아프리카 인프라 구축에 중요한 축을 담당하는 아프리카개발은행과 전자정부 구축 협력 방안을 협의하고 아프리카 정부들의 주요 인사와 미팅 및 제휴를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KT 미래융합사업추진실장 윤경림 부사장은 23~24일(현지시간)에 진행된 GSMA SG(전략그룹)에서 2018년 2월 선보인 5G 시범서비스를 주제로 KT의 5G 기술과 시범서비스 성과를 글로벌 통신사 최고 전략 책임자(CSO)들에게 발표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