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오전 서울 서초구 양재동 서초R&D캠퍼스에서 열린 '2018년 LG TV 신제품 발표회'에서 한국영업본부장 최상규 사장(왼쪽)과 HE사업본부장 권봉석 사장이 'LG 올레드 TV AI ThinQ(씽큐)'를 선보이고 하고 있다. /손진영 기자
LG전자가 더욱 완벽해진 화질과 인공지능으로 한 차원 더 높인 '올레드(OLED) TV'를 출시했다.
LG전자는 5일 한국영업본부장 최상규 사장과 HE(홈엔터테인먼트)사업본부장 권봉석 사장 등 최고 경영진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 서초 연구개발(R&D)캠퍼스에서 '2018년 LG TV 신제품 발표회'를 열었다.
권봉석 사장은 "올레드 TV의 대중화, 대형화로 소비자의 선택의 폭을 넓혀 '프리미엄 TV는 올레드'라는 인식을 더욱 공고히 할 계획"이라며 "인공지능으로 한 차원 더 높인 올레드 TV로 또 한번 앞서가겠다"고 강조했다.
LG전자는 올해 올레드 TV 주요모델에 독자 개발한 인공지능 화질엔진인 '알파9'을 장착해 보다 완벽한 올레드 화질을 제공한다.
알파9은 영상을 분석해 4단계로 노이즈를 제거한다. 1, 2단계에서 영상의 깨진 부분이나 잡티를 제거하고 3, 4단계에서 영상에 줄이 생기는 밴딩 노이즈나 색상의 뭉개짐을 완화시킨다.
또한 사물과 배경을 분리한 후 최적의 명암비와 채도를 찾아 값을 조정해 더 깊고 풍부한 입체감을 제공하고 기존 TV보다 7배 더 정교해진 색 좌표로 정확한 컬러 구현한다.
한편 LG전자는 독자 인공지능 플랫폼인 '딥씽큐(DeepThinQ)'를적용한 'LG 올레드 TV AI 씽큐'와 'LG 슈퍼 울트라HD TV AI 씽큐'로 인공지능 TV에서 도 시장을 선도할 계획이다.
LG전자의 인공지능 TV는 사용자의 말 한 마디로 '맞춤검색', 'TV제어', '영상·사운드 모드' 조정을 수행한다.
맞춤검색에서는 채널검색과 추천을 비롯해 다양한 정보검색이 가능하고, TV제어에서는 볼륨·채널변경 등 다양한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를 보던 시청자가 "요가 영상 틀어줘"라고 말하면 TV에서 요가 영상이 재생된다.
이날 발표회에서 권봉석 사장은 "이러한 기능은 기존에도 많이 있어 왔는데 LG만의 차별점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오늘은 인공지능 기능 중 일부를 보여드렸다. 아직 보여드리지 않은 게 더 있다는 말이다. 앞으로 외부 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새로운 인공지능 서비스를 금년 하반기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LG전자는 '나노셀(Nano Cell)' 기술을 적용한 슈퍼 울트라 HD TV도 선보인다.
패널 위에 극미세 분자를 덧입힌 나노셀 기술은 색의 파장을 나노 단위로 더욱 정교하게 조정해 보다 많은 색을 정확하게 표현한다. 이 기술을 통해 시청자는 어느 위치에서나 색상 차이 없는 화질을 즐길 수 있다.
지난해 올레드 TV에만 적용했던 '돌비 애트모스'와 '갤러리 모드'도 슈퍼 울트라HD TV까지 확대 적용한다. 돌비 애트모스는 머리 위로 비행기가 지나갈 때 소리가 시청자의 머리 위쪽에서 들리도록 해 더욱 입체적이고 사실적인 느낌을 제공한다.
갤러리 모드는 TV를 액자처럼 사용할 수 있는 기능으로, 좋아하는 사진이나 그림 등을 TV에서 볼 수 있다.
세계 4대 HDR 규격을 지원하는 유일한 TV라는 점도 눈여겨볼만하다.
2018년형 올레드 TV와 슈퍼 울트라HD TV는 '돌비비전 HDR', '테크니컬러 HDR', 'HLG', 'HDR 10' 등 다양한 규격의 HDR 영상을 완벽하게 재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