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게임

WHO, "게임중독은 질병"에 국내외 학계 반발 거세



세계보건기구(WHO)가 게임중독으로 인한 장애를 질병으로 분류하겠다고 예고한 것에 반발하는 학계 전문가들이 게임중독을 질병으로 분류할 수 없다고 지적하고 나섰다.

1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세계적인 권위의 정신 건강 전문가와 사회 과학자, 각국 연구센터 및 대학 교수진 등 관련 전문가 36명이 WHO의 게임 장애 항목 신설 계획에 반대할 뜻을 나타냈다.

게임 장애를 정확하게 정의하고 어렵고, 명확한 과학적 기준이 마련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지난 1일 헝가리에서 발간되는 임상심리학 분야 오픈 액세스 학술지 '행동 중독 저널'에 따르면 정신건강과 사회과학 등 게임 관련 분야를 연구하는 전문가 36명이 WHO의 방침에 반대하는 논문을 투고했으며 게재가 확정됐다. 이 논문에는 영국 옥스퍼드대, 미국 존스홉킨스대, 스웨덴 스톡홀름대, 호주 시드니대 등에 재직중인 학자들이 공저자로 참여했다.

WHO는 오는 5월 열리는 국제질병분류기호 개정(ICD-11)에서 게임 장애를 질병으로 등재하는 방향을 검토하려고 하고 있다. WHO가 게임중독을 ICD에 포함하면, ICD를 기초로 만드는 한국질병분류코드(KCD)도 게임 중독을 질환으로 진단할 가능성이 커진다.

WHO의 ICD-11 초안에 따르면 게임 장애는 '다른 일상생활보다 게임을 우선시 해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하더라도 게임을 지속하거나 확대하는 게임 행위의 패턴'이라고 정의한다.

그러나 WHO의 지정에 반대하는 이들은 ▲해당 진단을 지지하는 연구진 간에도 게임 장애를 정확하게 정의하기 어렵다는 점 ▲기존 근거들이 빈약하다는 점 ▲연구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의도로 질환을 공식화하는 것은 광범위한 범위의 비임상적인 사회 맥락을 간과할 수 있다는 점 등을 이유로 게임 중독을 질병으로 취급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게임중독의 악영향 사례에 따른 '도덕적 공황'이 질환의 공식화에 영향을 미치거나 증가할 수 있다는 점, 중독의 개념이 명확하게 정립돼야 한다는 점 등도 반대 이유에 포함했다.

현재 국내뿐 아니라 브라질, 미국, 캐나다, 남아프리카, 호주와 뉴질랜드, 유럽(18개국) 등의 게임산업 단체들은 WHO의 계획에 반대하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지난 9일 국내에서는 서울 서초구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열린 '게임문화의 올바른 정착을 모색하기 위한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게임을 질병과 연결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의견을 내놨다.

기조 발제로 나선 한덕현 중앙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WHO가 제시한 게임 중독의 진단 기준에도 내성과 금단증상이 빠져 있어 명확한 기준이 없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각국 전문가가 내놓은 논문의 내용과 같은 맥락이다.

윤태진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교수는 게임중독을 질병으로 분류하려는 시도가 '게임포비아'에서 비롯됐다고 분석했다.

윤 교수는 "게임포비아는 사회문제의 원인을 쉽게 찾고 싶어하는 정치인이나 교육과 건강의 분명한 적의 존재가 필요한 교사나 학부모, 지속적인 환자가 필요한 의사들이 만들어가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게임의 부정적인 측면이 아니라 긍적적인 요소에 대해서도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게임의 교육적, 치료적, 레크레이션적 가치가 이미 정립돼 있고, 디지털 사회에서 게임은 성공적인 삶에 필요한 주요 능력과 기술, 태도를 습득하기 위한 유용한 도구로서 활용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강신철 K-GAMES 협회장은 "논란의 여지가 있고 증명된 바가 없음에도 게임 장애를 질환으로 분류하려는 WHO의 계획에 대해 전 세계에서 반발하는 이들이 증가하고 있다"며 "WHO의 게임 장애 분류 시도는 즉각적으로 중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