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카카오택시, 수수료 내면 빨리 잡힌다…수익화 시동

정주환 카카오모빌리티 대표가 프레젠테이션을 하고 있다. /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의 자회사 카카오모빌리티의 '카카오택시'가 상반기 내 별도의 수수료를 내면 택시가 빨리 잡히는 기능을 도입한다. 이를 통해 본격적인 수익화에 시동을 걸겠다는 복안이다.

13일 카카오모빌리티는 서울 소공동 더플라자호텔에서 '2018 카카오모빌리티 미디어데이'를 열고 그간의 성과와 이 같은 계획을 공개했다.

눈에 띄는 계획은 '우선호출'과 '즉시배차' 기능이다. 우선호출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배차 성공 확률이 높은 택시에 우선적으로 호출 요청을 하는 식이다. 즉시배차는 인근의 비어 있는 택시를 즉시 배차해준다. 지금까지와 같은 무료 호출 방식은 그대로 유지된다.

두 방식을 선택해 배차가 성사되면 추가 수수료를 내야 한다. 즉시배차의 경우 현행 콜비(주간 1000원·심야 2000원)보다 높게 책정될 예정이다.

추가 요금은 택시기사에 바로 배분해주는 것이 아니라 운행 실적·평가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현금성 포인트로 돌려준다.

이와 함께 택시 공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카풀 서비스를 대안으로 내세웠다. 카카오택시를 불러도 택시가 안 잡히면 카풀로 연결되는 식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최근 카풀 회사인 '럭시'를 인수한 바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합법적 테두리 안에서 효과적 이동의 대안을 만들고, 이를 위한 서비스를 준비해 나감과 동시에 택시 업계와 카풀 업계 간의 원활한 대화와 협력을 위한 장을 만드는데 노력할 예정이다.

카카오모빌리티 주요 서비스별 성과. /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모빌리티에 따르면 지난 2년 간 택시 호출은 2.5배로 늘어난데 반해 활동 기사 수는 1.4배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 같은 택시 수요와 공급의 차이가 출퇴근, 심야 시간이나 도심 지역에서 발생하는 택시 승차난의 근본적 원인으로 분석된다. 특히 2013년 이후 운행 택시 수가 줄어들면서 수요·공급 격차는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토교통부, 서울시, 택시업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해왔다. 우선호출이나 즉시배차, 카풀 서비스 등이 그 결과물이라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해외 진출에도 나선다. 카카오모빌리티는 현재 일본의 '재팬 택시'와의 협업을 통해 올 하반기부터 한일 양국의 이용자에게 국경을 초월한 호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한국을 방문한 일본인 이용자는 한국에서 재팬택시로, 일본을 방문한 한국인 이용자는 일본에서 카카오 T로 택시를 호출할 수 있게 되는 식이다. 지난해 12월 투자한 이지식스코리아를 통해 국내 이용자가 홍콩, 대만, 동남아 지역에 방문했을 때 현지 이동 수단을 연결해주는 사업도 연내 시작할 예정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외에도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해 다양한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카카오의 통합 인공지능 플랫폼 '카카오 I' 를 카카오 T에 도입할 계획이며, 원하는 일시의 교통 정보를 미리 볼 수 있는 '미래운행정보'와 딥러닝 기반의 배차 시스템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있다.

아울러 지난해 11월 투자한 AI 기반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기업 마스오토와의 협업을 통해 자율주행 생태계에도 참여한다. 모빌리티 스타트업들에 대한 투자 및 인수도 꾸준히 한다는 계획이다.

카카오 T 택시 누적 이용 건수는 4억 건에 달하며 전국 택시기사의 96% 이상인 24만명이 가입해 있다. 서비스 2년째에 접어든 카카오 T 드라이버는 최근 누적 이용건수 1400만건, 가입자 340만명을 돌파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