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오하이빈 액토즈소프트 대표이사가 올해 사업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 김나인 기자
액토즈소프트가 블록체인 사업에 뛰어든다. 자사의 강점인 e스포츠에 적용하고, 사업을 다각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연내 e스포츠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는 '토큰'을 내놓는다.
구오하이빈 액토즈 대표이사는 2일 서울 서초동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제4차 산업혁명 핵심인 블록체인 사업에 뛰어들 계획"이라며 "블록체인 영역에서 현재 여러 사업으로 구체적으로 구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암호화폐공개(ICO)는 하지 않고, 자사의 다양한 수익모델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확정된 사업은 ▲스타트업 인큐베이션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커뮤니티 ▲블록체인 기반 e스포츠 플랫폼 등이다.
신사업을 담당하는 오명수 액토즈 사업개발본부 이사는 "우선적으로는 본업인 유저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와 사업을 상향시키는 방향으로 추진하고 있고 전사적으로 봤을 때도 신사업 동력으로 있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도입하게 됐다"고 블록체인 사업 추진 이유를 설명했다.
스타트업 인큐베이션과 관련해서는 올해 하반기 내 국내의 블록체인 스타트업 기업에 기술적인 자문이나 장소 제공 등 여러 지원을 한다는 방침이다. 구오하이빈 대표는 국내뿐 아니라 중국이나 기타 글로벌 지역에서도 좋은 프로젝트나 스타트업이 있다는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부연했다.
초기 투자 금액 규모는 20억~30억원 수준이다.
e스포츠와 관련한 블록체인 사업에 대해서는 기존 오프라인뿐만 아니라 온라인을 아우르는 서비스로 방송 프로그램을 만드는 등 새로운 사업 모델을 구상하겠다는 방침이다.
e스포츠 사업을 전담하는 조위 이사는 "블록체인으로 더 투명하고 토큰 관련 유저에게 잘 쓸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을 기획하고 있다"며 "연내 e스포츠 대회를 할 때 쓸 수 있는 토큰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다만, 토큰을 출시해도 ICO는 하지 않을 계획이다.
액토즈소프트는 국내 업체와 달리 중국 현지에서 바로 블록체인 서비스나 기술을 인용하거나 연계할 수 있다는 것을 강점으로 꼽았다. 액토즈 측은 중국의 블록체인 규제와 관련해서는 "중국에서 규제를 하는 부분은 암호화폐 거래"라며 "블록체인 자체에 대해서는 사천성 등에서 대대적으로 추진하는 분야기 때문에 이런 리소스를 시너지로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블록체인 전담 인력은 다섯 명이고, 당분간 인재 영입에 몰두할 계획이다.
아울러 액토즈소프트는 자사 역할수행게임(RPG)인 '드래곤네스트'의 지식재산권(IP)을 올해 적극적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액토즈소프트는 지난달 27일 드래곤네스트의 모바일 버전인 '드래곤네스트M'을 국내에서 정식 출시했다.
구오하이빈 대표는 "세계적으로 2억명의 유저를 보유한 드래곤네스트의 IP를 애니메이션, 웹툰 등 다른 영역으로 다각화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며 "유명 IP를 이용한 게임과 이미 시장에서 검증된 게임을 출시하는 투트랙 전략으로 모바일 게임 퍼블리싱 사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