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JC2 해저케이블 구성도. / SK브로드밴드
SK브로드밴드가 '인터넷 고속도로'로 불리는 해저케이블 사업에 1000억원을 투자한다. 다가오는 5세대(5G) 이동통신 시대 대용량 트래픽 증가를 대비하기 위해서다.
아시아 바다에 1만㎞가 넘는 해저케이블이 완공되면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등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고, 각 국가끼리 데이터센터로 바로 콘텐츠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B2B(기업 간 거래) 사업이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해저케이블은 전기 통신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바닷속에 설치하는 케이블이다.
5일 김재석 SK브로드밴드 인프라지원본부장은 서울 중구 삼화빌딩에서 열린 기자간담회를 통해 "아시아 9개 국가를 연결하는 국제해저케이블 구축 컨소시엄에 참여키로 결정했다"며 "오는 2021년 상반기 완공하고 상용서비스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SJC2(Southeast-Asia Japan Cable 2)' 컨소시엄은 한국을 포함해 싱가포르,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 홍콩, 대만, 중국, 일본 등 아시아 9개국 11개 지역을 연결하는 국제해저케이블을 구축한다. 총길이는 1만500㎞다. 최신 전송 기술을 적용해 기존 해저케이블보다 높은 전송용량을 제공한다.
컨소시엄 참여 기업은 총 9개사로, 한국에서는 SK브로드밴드를 포함해 싱가포르의 싱텔, 중국의 차이나모바일 인터내셔널, 대만의 청화텔레콤, 캄보디아의 추안 웨이, 일본의 KDDI, 태국 트루그룹, 베트남 VNPT, 페이스북 등이 참여한다. 콘텐츠사업자(CP)인 페이스북이 참여하는 것은 경우 늘어나는 트래픽에 대해 자체 수용을 위해서인 것으로 예상된다.
총 비용은 5500억원 규모일 것으로 예상된다. 메인 경로의 경우 9개의 회사가 공동 분담하고, 각각 해당 나라로 분기가 되는 부분은 각 국가의 회사가 분담을 하는 식이다.
김재석 본부장은 "해저케이블이 완공되면 아시아 바다에 1만㎞가 넘는 '인터넷 고속도로'가 새롭게 뚫려 급증하는 국제 트래픽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해저케이블 보유 사업자로서 글로벌 영역에서의 위상 강화도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회사 측은 이번 국제해저케이블 컨소시엄 참여로 36만명 가입자가 동시에 초고화질(UHD)화질(25Mbps)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고, 4기가바이트(GB) 용량의 영화를 1초에 280편 이상을 전송할 수 있는 규모인 9테라(Tbps)급 국제해저케이블 용량을 확보하게 된다고 내다봤다.
이번 해저케이블 구축은 최대한 지진대를 우회하고, 자연재해로부터 해저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해 외부에 의해 케이블이 훼손되는 부분을 보강할 계획이다.
SK브로드밴드는 이를 통해 국내외 기업고객을 대상으로 국제 전용회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자체 IDC 서버, 국제 및 국내 전용회선을 한 번에 연결한 원 스톱 서비스도 제공하는 등 글로벌 비즈니스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SK브로드밴드는 해저케이블 상용화 5년 이내에 인터넷데이터센터(IDC) 사업과 국제 전용회선 사업 매출이 두 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최성균 SK브로드밴드 IDC사업팀장은 "현재 IDC사업 매출이 1000억원이고, 국제전용회선 사업 매출이 500억원 정도인데 서비스가가 상용화되면 5년 이내에 두 배 정도 성장이 실현될 것으로 보인다"며 "콘텐츠 유통 수요를 타깃으로 삼아 기업 사업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