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남북정상회담 주관통신 지원에 관한 협약을 체결한 후 KT 네트워크부문장 오성목(왼쪽) 사장과 대통령비서실 윤영찬 국민소통수석비서관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KT
오는 27일 열리는 남북 화합의 현장인 남북정상회담 결과가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을 활용한 가상현실(VR) 영상으로 공개된다. 일산 킨텍스 프레스센터에는 5G 기지국을 설치하고, 홍보관도 마련된다.
23일 이동통신 업계에 따르면 남북정상회담 주관통신사인 KT는 판문점에 방송망, 전용회선 등 통신 시스템 및 시설을 구축한다. 국내외 취재진을 위해서는 일산 킨텍스 프레스센터에 방송망과 통신망을 제공하고, 5G 기지국을 설치한다.
준비위원회에 따르면 남북정상회담 프레스센터에는 국내외 약 350개 매체, 2800명 이상의 취재진이 사전등록을 마쳤다. KT는 남북정상회담 브리핑 내용을 일반 방송중계 뿐만 아니라 자사 5G망을 통해 VR 영상으로 일산 킨텍스 프레스센터에 실시간 중계할 예정이다.
KT는 2000년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남북정상회담, 2007년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위원장의 남북정상회담을 포함해 세 차례 남북정상회담에서 모두 통신 지원을 맡게 됐다.
SK텔레콤 모델들이 중계가 이뤄질 남북정상회담 프레스센터 일산 킨텍스 전시장에서 5G 태블릿을 시연하고 있다. /SK텔레콤
SK텔레콤은 킨텍스에 마련된 프레스센터에 5G 인프라와 전시부스를 구축하고, 5G 태블릿을 통해 정상회담 취재차 한국을 방문한 기자들에게 남북정상회담 브리핑을 중계할 예정이다. 또 남북정상회담 브리핑 영상의 5G 360도 라이브 중계와 함께 머리에 쓰는 형태의 디스플레이 기기인 'HMD(Head Mounted Display)'를 이용한 '360도 VR'로 남북정상회담장을 프레스센터에서 체험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특히 회담장 VR는 스마트폰 기반의 HMD에서 풀고화질(HD) 보다 16배 선명한 8K 수준의 360도 영상 품질을 제공한다.
프레스센터 부근에서는 양사의 5G 기술도 체험할 수 있다.
우선 SK텔레콤은 프레스센터 내 전시장에 회담 관련 뉴스와 과거 남북정상회담 영상, 평창 동계올림픽 소개 영상, 최근의 평양공연 영상 등을 동시에 볼 수 있는 '스마트월'을 설치할 예정이다. 199인치 크기의 화면으로 선보이는 스마트월은 최대 16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각자가 원하는 영상을 볼 수 있다. SK텔레콤은 스마트월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연동시켜 남북회담에 대한 국민의 반응을 실시간으로 전달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정부와 협의해 한국을 알리는 콘텐츠를 '무안경 3D' 디스플레이로 선보이는 체험공간도 마련한다.
KT는 킨텍스 외부에서 5G 버스를 활용한 '이동형 5G 홍보관'을 운영할 예정이다. 이동형 홍보관에서는 멀리 떨어져 있는 로봇팔을 조종할 수 있는 '5G 로봇암'과 '5G 커넥티드 스피드', VR 동계스포츠 체험 등을 선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