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IoT 망 기술 비교./ SK텔레콤
SK텔레콤은 '로라'와 'LTE-M'에 이어 사물인터넷(IoT) 전국망 'LTE Cat.M1' 상용화에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로써 기업 고객 및 개인 개발자들은 보다 다양한 IoT 망을 활용해 각 서비스 특성에 맞는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게 됐다.
'LTE Cat.M1'은 국제 표준화단체인 3GPP에서 표준화한 저전력 광대역(LPWA) 기술이다. 고화질(HD)급 사진과 저용량 동영상 전송이 가능하다. 전력 효율이 좋아 수년 간 배터리 걱정 없이 IoT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통신 모듈 가격도 기존 'LTE-M' 대비 약 30% 저렴하다.
SK텔레콤은 'LTE Cat.M1' 전용 요금제도 출시했다. 요금제는 1100원(부가세 포함)부터 5500원까지 총 다섯 종류다. 데이터 제공량은 회선당 5메가바이트(MB)부터 100MB까지다.
SK텔레콤은 지난해 'LTE Cat.M1'을 기술 개발을 완료하고 시험망 검증을 마쳤다. 이후 지난 3월까지 상용 LTE 기지국에서 기술 적용 및 필드 테스트 등 기술고도화를 통해 망 안정화 및 최적화를 완료했다.
'LTE Cat.M1' 상용화 이전의 IoT 서비스는 대부분 'LTE-M', 'NB-IoT', '로라' 망을 이용해 제공됐으나 망 간 성능 차이가 현격해 이를 절충할 수 있는 망 구축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LTE-M은 전송 속도는 10메가비피에스(Mbps)로 빠르지만, 전력 효율이 좋지 않아 수 개월 마다 배터리를 교체해야 했고 통신 모듈 가격도 높았다. 로라와 NB-IoT는 전력 효율이 좋아 수 년 이상 배터리 교체 없이 사용 가능하지만, 30kbps 이하의 속도로 제공되기 때문에 수치나 알림 등 소량의 데이터 전달만 가능했다. 'LTE Cat.M1'은 두 망의 장점을 융합한 대안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SK텔레콤은 국내 통신장비 제조사인 콘텔라와 손잡고 첫 'LTE Cat.M1' 서비스 'IoT블랙박스' 서비스를 내달 중순 출시한다. 차량의 사고 통보, 충격 영상 전송, 차량 위치, 운행이력 확인, 주차위치 전송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요금은 월 1900원이며, 50MB의 데이터를 제공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