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손익계산서 요약(단위:억원). / SK텔레콤
SK텔레콤이 선택약정 가입자 증가와 할인율 상승 등 요금할인 영향으로 1·4분기 부진한 성적표를 받았다.
SK텔레콤은 연결 재무제표 기준으로 올 1·4분기 매출 4조 1815억원, 영업이익 3255억원을 기록했다고 4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2%, 20.7% 줄어든 수치다. 순이익은 SK하이닉스의 실적 호조에 따른 지분법 이익 영향으로 6934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18.8% 증가했다.
SK텔레콤의 영업익이 하락한 이유는 이동통신사업 수익 감소와 회계기준 변경 등이다. SK텔레콤은 회계기준 변경에 따라 올해부터 K-IFRS15를 적용했다.
기존 회계기준으로도 같은 기간 매출이 0.3%, 영업이익이 12.4% 감소했으며 순이익은 22.8% 올랐다. K-IFRS 1115호 도입으로 인한 영향은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각각 391억원, 340억원, 232억원 감소로 나타났다.
이동통신사업 수익은 선택약정 가입자 증가 및 할인율 상승, 취약계층 요금 감면 등의 영향으로 감소했다.
SK텔레콤은 단기 실적 감소 우려에도 지난 2월 '최적 요금제 제안 시스템' 도입을 시작으로 '약정 제도 · 로밍 서비스 전면 개편', '멤버십 연간 할인한도 폐지' 등 '고객 가치 혁신 프로그램'을 잇따라 발표했다. 이에 따라 고객 만족도를 대변하는 지표인 해지율은 롱텀에볼루션(LTE) 도입 이후 최저 수준인 1.3%를 기록했다.
이동통신 사업 부진에도 미디어 사업, 인공지능(AI) 생태계 확대 등 뉴 ICT 사업은 성과를 냈다. 지난 3월 말 기준 인터넷TV(IPTV) 가입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9.6% 증가한 446만명을 기록했다. 모바일 IPTV '옥수수' 가입자도 전년 동기 대비 25.5% 늘어난 888만명에 달했다. 특히 '옥수수' 월 순방문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41.9% 급증하며, 610만명을 돌파했다.
AI 서비스 '누구'의 월간 실 사용자수(MAU)는 300만명을 돌파했다. SK텔레콤은 '누구'의 적용 영역과 기능 확대 등을 통해 연말까지 500만명 이상의 월간 실 사용자 수를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SK텔레콤 유영상 코퍼레이터센터장은 "단기 매출 손실에 대한 우려가 있을 수 있지만 고객 가치 혁신을 통해 고객의 신뢰를 회복하고, 회사의 건강한 수익구조를 이어 나갈 것"이라며, "회사의 장기적 성장을 위해 기존과는 차원이 다른 변화와 혁신을 지속 추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