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게임

'리니지M', 리니지와 결별…김택진 대표 "글로벌 IP로 키울 것"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가 리니지M 서비스 1주년 미디어 간담회 'YEAR ONE'에서 키노트를 발표하고 있다./엔씨소프트



"리니지를 벗어나 '리니지M'만의 오리지널리티로 새로운 항해를 시작하겠다."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는 15일 서울 역삼동 더 라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원작인 PC 리니지와 '리니지M'의 결별을 선언했다. 리니지M 1주년을 맞아 모바일게임으로 독자적인 길을 걸어갈 수 있다는 확신을 보인 것.

김 대표가 공식 석상에 나온 것은 2015년 12월 리니지 출시 17주년 기념 간담회 이후 처음이다.

리니지M은 엔씨소프트의 대표적인 지식재산권(IP) '리니지'를 PC온라인 게임에서 모바일 대규모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로 옮긴 게임이다. 지난해 6월 출시해 첫날부터 이용자 210만명, 매출 107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1년여 간 꾸준히 엔씨소프트의 실적을 견인한 '효자'게임으로,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출시 이후 줄곧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대만 진출 이후 현지 애플 앱스토어와 구글플레이스토어에서도 최고 매출 1위를 기록했다.

김택진 대표는 "1여년 간의 과정을 통해 리니지M이 독자적인 길을 걸어갈 수 있겠다는 확신이 들었다"며 "20년 만에 리니지M만의 신규 클래스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리니지M의 독자 노선이 확실해진 셈이다.

엔씨는 출시 1년을 맞아 리니지M의 그래픽을 풀고화질(HD)급으로 전면 개편한다. 독자 콘텐츠로는 신규 클래스 '총사'를 공개했다. 총사는 리니지M에서 처음 추가하는 오리지널 콘텐츠로, PC와 모바일 게임의 독자 노선의 첫 걸음이기도 하다.

해외 시장도 본격 공략한다. 이날 엔씨소프트는 일본, 중국, 북미 시장을 겨냥한 리니지M 글로벌 버전 개발 계획도 공개했다. 현재 한국과 대만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리니지M과는 다른 새 게임이다. 정확한 출시 시기는 공개되지 않았다.

모바일 게임의 경우 통상적으로 PC 온라인 게임보다 수명이 짧다는 우려가 있다. 20여년 이상 이용자들이 꾸준히 즐겨온 PC 리니지와 비교해 리니지M의 수명이 짧지 않겠냐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에 대해 이성구 엔씨소프트 리니지 유닛장은 "리니지M의 경우 다른 일반적인 모바일 게임과는 유저 이탈 등에서 다른 양상을 보인다"며 "장기적으로 PC 리니지처럼 오래 가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리니지M의 경우 매주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있다.

리니지M의 독자 노선에 대한 우려에 대해서는 "초반에는 PC 리니지에서 넘어온 이용자들이 리니지M으로 끌고 오긴 했지만 꾸준히 새로 유입되는 이용자가 많고, 2030세대의 젊은층이 주로 게임을 즐기고 있다"며 "PC와 모바일 게임 모두 각자 충성고객을 확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새롭게 변한 리니지M은 오는 30일 대규모 업데이트를 통해 공개된다. 리니지M의 첫번째 에피소드인 '블랙 플레임'도 업데이트하고, 리니지 IP의 대표 콘텐츠인 '드래곤 레이드'도 순차적으로 업데이트 한다. 이용자는 이날 오전 11시부터 블랙 플레임 업데이트 사전 예약 프로모션에 참여할 수 있다.

엔씨는 이날 리니지M 출시 1주년 기념 선물은 'TJ's 쿠폰'도 공개했다. 이용자는 'TJ's 쿠폰으로 리니지M 출시 이후부터 이날 오전 10시까지 강화 실패로 소멸된 아이템 중 하나를 복구할 수 있다. 모든 리니지M 이용자는 6월 20일에 쿠폰을 받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