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분기 글로벌 반도체 업계의 '슈퍼호황' 속에서 반도체 업계가 신기록 행진을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코리아의 위엄을 드러내며 경쟁업체들과의 격차를 더 벌렸다.
17일 세계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 따르면 올 1분기 전 세계 실리콘웨이퍼 출하량(면적 기준)이 30억8400만 제곱인치로, 전분기보다 3.6% 증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서는 7.9%나 늘어난 것으로, 처음으로 30억 제곱인치를 넘어서며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실리콘웨이퍼는 고순도의 실리콘(규소)을 단결정으로 성장시킨 뒤 얇게 잘라서 만든 반도체 원판으로, 출하가 증가했다는 것은 그만큼 반도체 업황이 호조를 보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SEMI는 보고서에서 "사상 최고치로 한해를 시작한 만큼 올해 실리콘웨이퍼 출하 실적은 계속 탄탄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메모리 반도체 전문 시장조사업체인 D램익스체인지도 최근 보고서에서 1분기 D램 시장 매출 규모가 230억7600만 달러로, 전분기보다 5.4% 증가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가상화폐 채굴에 사용되는 그래픽카드용 D램 가격이 전분기 대비 무려 15%나 오른 데다 다른 제품군도 대체로 가격 상승세를 보인 데 따른 것으로, 2분기에도 이런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런 가운데 올 1분기 전 세계 반도체 업계에서 특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활약이 돋보였다는 평가가 나왔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인 IC인사이츠에 따르면 1분기 삼성전자의 반도체 매출은 194억1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3%나 늘어나며 인텔(158억3200만 달러)을 제치고 1위에 올랐다.
1993년 이후 선두 자리를 지켜온 인텔도 1년 전보다 매출이 11% 늘었으나 삼성전자의 질주를 막진 못했다.
SK하이닉스는 81억4100만 달러의 매출로, 대만 TSMC(84억7300만 달러)에 이어 4위 자리를 유지했으나 매출액 격차를 크게 줄였다. 같은 기간 SK하이닉스와 TSMC의 매출 증가율은 각각 49%와 13%였다.
업계 관계자는 "데이터센터, 모바일 등의 수요가 꾸준하게 이어지고 있어 연말까지는 반도체 시장이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면서 "다만 중국의 대규모 설비 투자가 실제 양산 체제로 돌입하고, 업체 간 가격 경쟁이 심화할 경우 내년부터는 추세가 꺾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