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17일 서울 성수동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 에스팩토리에서 '삼성 홈IoT&빅스비' 미디어데이를 개최했다. 김현석 대표이사 사장이 패밀리허브 냉장고·무풍에어컨·플렉스워시 세탁기·QLED TV 등 '빅스비' 적용으로 한 단계 진화한 주요 제품들을 통해 실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홈IoT 서비스와 비전을 설명하고 있다./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비서 '빅스비'와 연계한 '삼성 홈IoT(사물인터넷)'로 리더십 확보에 나선다.
최근 생활가전 시장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지만 당장의 실적 보다는 빠르게 성장하는 AI와 홈IoT 주도권을 확보해 판도 변화를 이끌겠다는 전략이다.
AI 기술 주도권을 가지고 가기 위해 1000명 이상의 엔지니어를 확보하고, 국내외 회사들을 인수·합병(M&A)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삼성전자는 17일 서울 성수동 복합문화공간 에스팩토리에서 '삼성 홈IoT(사물인터넷)&빅스비' 미디어데이를 열고 이 같은 비전을 제시했다.
김현석 삼성전자는 지난해 말 모든 IoT 서비스용 클라우드를 '스마트싱스 클라우드'로 통합·연동했다. 올해는 '스마트싱스 앱'을 출시해 삼성의 모든 IoT 제품을 간편하게 연결·제어할 수 있도록 했다.
김현석 사장은 "삼성전자에서는 매년 5억대의 스마트 기기가 판매되고 있고 매년 그 숫자가 증가하고 있다"며 "엄청난 AI 플랫폼의 영향력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외에도 올해 출시하는 TV·냉장고·에어컨·세탁기 등 주요 가전제품에 빅스비를 적용했다. 향후 오븐과 로봇청소기 등 다양한 제품군에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또 올 하반기에는 삼성 제품뿐 아니라 전구, 센서 등 제 3자 기기까지 연동하고, 제어할 스마트싱스 허브를 국내에 도입해 소비자들이 다양한 스마트 기기들을 연결하는데 편의성을 높인다.
삼성전자는 2020년까지는 자사의 스마트폰부터 TV, 냉장고 등 생활가전과 삼성전자가 인수한 하만의 자동차 전장까지 빅스비를 탑재한다는 방침이다.
삼성전자는 AI 대중화와 기술 리더십을 이어가기 위해 우수한 기술과 인재 육성에 나선다.
그는 "1000명 이상의 AI 엔지니어를 확보해야 우리가 추구하는 AI 발전을 만들어낼 수 있다"며 "이를 통해 AI 기술을 선행 연구하는 AI 센터 조직을 대폭 강화하고, 다양한 제품과 개방성을 기반으로 AI를 대중화해 지속 발전시킬 것"이라며 말했다.
또 AI 기술 관련 회사들에 대한 M&A도 적극 나선다. 그는 "AI는 굉장히 다양한 분야가 있고 자체적으로 확보하는 AI 기술은 제한적"이라며 "좋은 기술을 가진 국내외 회사들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M&A를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패밀리허브·무풍에어컨·플렉스워시·스마트 TV 등 빅스비 적용으로 한 단계 진화한 주요 제품들을 통해 실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IoT 서비스를 선보였다.
김 사장은 "빅스비와 함께 삼성전자의 제품과 서비스가 더욱 강력해 진 것을 쉽게 느낄 수 있을 것"이라며, "삼성전자의 차별화된 AI 기술이 소비자들의 생활을 편리하고 풍요롭게 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1분기 삼성전자 CE부문 영업이익은 2800억원으로, 2015년 2분기 이후 최저 영업이익을 냈다. 이는 경쟁사 LG전자 4분의 1수준으로, 2015년 2분기 이후 최저 영업이익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