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 계열 투자전문 지주회사인 SK㈜가 북미 셰일원유·가스 G&P(Gathering & Processing) 기업 투자를 통해 글로벌 에너지 사업확장을 가속화한다./뉴시스
SK㈜가 북미 셰일원유·가스 G&P(Gathering & Processing) 기업 투자를 통해 글로벌 에너지 사업확장을 가속화한다.
SK그룹의 미래 신성장 동력인 글로벌 에너지 사업 강화와 동시에 '글로벌 투자전문지주회사'로의 입지를 강화하게 됐다.
20일 재계에 따르면 SK㈜는 지난 18일 이사회를 열고 북미 셰일원유·가스 G&P 기업인 브라조스 미드스트림 홀딩스(이하 브라조스)에 2억5000만 달러(2700억원) 규모 투자를 결정했다. 이번 지분 투자는 SK㈜ 미국법인인 플루투스 캐피탈을 통해 진행된다.
SK㈜ 측은 "고유가 속 셰일원유 붐 속에서 미국 최대생산지인 퍼미안 지역의 고성장 기업에 투자함으로써 글로벌 에너지 사업확장과 수익확보가 가능해졌다"며 "기존 에너지 사업과의 시너지는 물론 SK 북미 사업의 주요 수입원 창출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G&P사업이란 가스전에서 생산된 천연가스를 모아 파이프라인을 통해 이송하는 개더링과 이송된 천연가스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최종 소비자에게 운송·판매하는데 적합하도록 가공하는 프로세싱 서비스 사업을 말한다.
SK㈜가 유레카에 이어 브라조스 투자를 통해 미드스트림을 강화하면 SK그룹 내 사업간 시너지가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 자원채굴·생산(E&P) 활동인 업스트림 사업은 SK이노베이션이 적극 추진 중이며 다운스트림인 수송·판매는 SK이노베이션과 SK E&S가 담당하고 있다.
브라조스사는 2015년 설립됐으며 텍사스주 퍼미안 분지에 위치한 셰일원유 및 가스 G&P 전문 업체다. 고정수수료 계약이 매출의 80%가 넘어 오일과 가스 가격에 따른 수익 변동 리스크가 낮고 평균 10년 이상의 장기계약을 보유해 사업안정성이 높은 대표적 우량 기업이다.
특히 특정 지역 내 생산 물량에 대한 독점적 처리 권한과 다수의 우수 고객사를 보유해 설립 3년 만에 높은 성장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다.
이로 인해 브래저스 지분 인수 경쟁에는 글로벌 사모펀드, G&P 전문업체, 글로벌 투자은행(IB) 등 70여 개 기관이 치열한 경쟁을 벌인 것으로 전해졌다.
브라조스사가 있는 퍼미안 분지는 북미 최대(45%) 셰일오일 생산지로 2014년 유가 폭락 후저유가가 장기화되는 상황에서도 신규 유정 개발이 지속적으로 증가한 유일한 곳이다. 이 지역의 셰일원유 및 가스 생산량은 2025년까지 연 평균 13%의 고성장이 예상된다.
SK㈜는 작년 유레카 지분 투자를 통해 북미 최대 천연가스 매장지인 펜실베니아-오하이오주 마르셀러스-유티카 분지에 이어 퍼미안 분지 G&P업체 투자를 통해 글로벌 에너지 사업 확장에 있어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게 됐다.
SK㈜ 관계자는 "글로벌 에너지 사업 확장을 통해 밸류 업을 지속해 투자 효율을 극대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SK㈜의 지난해 투자액 1조5000억원 중 절반 이상이 글로벌 시장에 투자했으며 동남아 1위 카셰어링 그랩과 브라조스사 투자 등 올해에도 글로벌 투자에 지속적으로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