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너무 비싼 '갤럭시S9'·'아이폰X' 빌려쓴다…임대료 월 3만원대

SK텔레콤 홍보모델이 'T렌탈' 서비스를 소개하고 있다./ SK텔레콤



# A씨는 최근 100만원을 훌쩍 넘긴 스마트폰을 선뜻 구매하기 부담스럽다. 2년 뒤에 또 최신 스마트폰으로 바꾸고 싶은데 월 4만원대 할부금을 2년간 꼬박 내며 구매하는 것이 내키지 않았다. 고심 끝에 2년간 월 3만원대 렌탈료로 새 스마트폰을 빌려 쓰는 'T렌탈'에 가입했다. 매월 비용 부담도 줄고 향후 기기 처리에 대한 고민도 사라졌다.

SK텔레콤이 고객가치혁신 프로젝트 일환으로 스마트폰 임대 사업에 나선다. 스마트폰을 구매하는 대신 월 3만~4만원대에 최신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T렌탈' 서비스를 선보였다. 이를 통해 자동차처럼 스마트폰도 공유해서 이용할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

SK텔레콤은 스마트폰 렌탈·케어 서비스 'T렌탈'을 6월 1일부터 시작한다고 31일 밝혔다.

T렌탈은 매월 렌탈료를 내고 빌려 쓰다가 24개월 뒤에 렌탈 기간이 만료되면 반납하는 구조다. 24개월 만료 전에 중고폰의 가치를 지불하면 반납하지 않고 소유할 수도 있다. 중간에 계약 해지를 할 때는 중도해지변상금이 발생한다.

임대 대상은 '갤럭시S9', '아이폰8', '아이폰X' 시리즈이며 향후 신규 스마트폰이 추가될 예정이다.

월 임대료는 ▲갤럭시S9 64GB 3만4872원 ▲아이폰8 64GB 3만1885원 ▲아이폰X 64GB 4만7746원이다. 스마트폰을 할부로 구매할 때의 월 할부금보다 7500원에서 1만2500원 가량 저렴하다.

스마트폰의 임대료와 중고폰의 가치는 맥쿼리(Macquarie)가 자체적으로 산정한다. 맥쿼리는 호주 1위 이통사 텔스트라(Telstra)와 렌탈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T렌탈은 기존 갤럭시클럽이나 아이폰클럽과 대비해 별도의 이용료가 없고 중고폰 반납 시점이 아닌 개통 첫 달부터 할인 혜택을 받는 장점이 있다.

'T렌탈' 스마트폰 임대료. / SK텔레콤



SK텔레콤은 고객 분석 결과 고가 스마트폰 이용 고객이 중저가 스마트폰 이용 고객보다 더 자주 제품을 교체하고, 중고폰 처분 경험이 없는 고객이 약 70%로 대다수인 점을 감안하면 렌탈에 대한 잠재 수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공식 온라인몰 T월드다이렉트와 11번가에서 T렌탈 가입을 신청하고 택배로 스마트폰을 받으면, T월드다이렉트 고객센터를 통해 개통할 수 있다.

이날 SK텔레콤은 스마트폰 관리 서비스인 'T올케어'도 출시했다. T렌탈은 고객이 스마트폰을 잃어버리거나 파손하면 일반 할부 구매처럼 본인 부담금이 발생한다. 그러나 T올케어에 가입하면 ▲하루만에 보상폰 받는 분실·파손 보험 ▲24시간 스마트폰 상담 등 혜택을 받을 수 있다. 'T올케어'는 'T렌탈' 고객 이외에도 모든 신규, 기기변경 고객이 별도 가입할 수 있다.

T올케어는 스마트폰 종류와 보상한도에 따라 5400원에서 8200원까지 책정됐다. T올케어 가입은 분실 접수 시 하루 만에 보상폰을 택배로 받을 수 있으며, '폰기능상담24' 서비스를 기본으로 제공한다. 폰기능상담24는 SK텔레콤이 미국 아슈리온(Asurion)과 제휴해 국내에 처음 선보이는 스마트폰 전문 상담 애플리케이션(앱)으로, 미국에서 4000만명 이상의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다.

서성원 SK텔레콤 MNO사업부장(사장)은 "같은 제조사가 만든 스마트폰이라도 SK텔레콤 고객만의 특별한 경험을 제공해 드리고자 스마트폰 렌탈·케어 서비스를 선보인다"며 "고객 신뢰 회복을 목표로 연중 진정성 있는 고객가치혁신 활동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