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 3사의 5G 주파수 경매 확보전이 이틀 만에 마무리되면서 각 사들이 내년부터 5세대(5G) 이동통신 상용화 전쟁에 본격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경매를 통해 이동통신 3사가 확보한 주파수는 자율주행차, 인공지능(AI), 스마트시티 등 4차 산업혁명의 기반이 되는 5G 서비스를 위한 마중물이 될 것으로 보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속개된 2일차 주파수 경매에서 전체 낙찰가 3조6183억에 결정돼 경매가 종료됐다고 밝혔다. 최저경쟁가격 시작가인 3조2760억원에서 3423억원이 뛰어오른 가격이다.
최대 속도가 20Gbps(기가비피에스)에 달하는 5G는 롱텀에볼루션(LTE)에 비해 20배 빠르다. 신호 지연시간도 짧고 대규모 트래픽 처리가 가능해 자율주행차 등에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안정적인 5G 서비스를 위해서는 주파수 대역폭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 이동통신 3사가 지난 15일부터 펼쳐진 5G 주파수 경매에 사활을 건 이유다.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는 이날 오전 8시30분께 경기도 성남시 분당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지하 1층에 마련된 경매장에 입실해 치열한 수 싸움에 돌입했다.
경쟁이 치열했던 3.5㎓ 대역은 이날 9번째 라운드에서 1단계가 종료됐다. 블록당 968억원에 SK텔레콤, KT가 각 100메가헤르츠(㎒) 폭씩, LG유플러스는 80㎒폭을 할당받았다. 주파수 위치를 결정하는 2단계를 진행한 결과, 위치는 LG유플러스는 3.42~3.5㎓, KT는 3.5~3.6㎓, SK텔레콤 3.6~3.7㎓ 순으로 결정됐다. 1단계와 2단계를 합한 3.5㎓ 대역의 최종 낙찰가는 SK텔레콤이 1조2185억원, KT는 9680억원, LG유플러스는 8095억원이다.
첫날인 15일 1단계 1라운드에서 경매가 종료됐던 28㎓ 대역의 경우 블록당 259억원에 각 사가 800㎒폭을 할당 받았다.
5G 주파수 경매가 종료됐지만 확보한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는 시점은 오는 12월부터일 것으로 보인다. 이번 경매 결과에 따라 이동통신 3사는 3.5㎓ 대역의 경우 12월부터 10년간, 28㎓ 대역은 같은 날부터 5년 간 할당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과기정통부는 애초 효율적인 네트워크 설계가 가능하도록 3.5㎓ 대역과 28㎓ 대역을 동시에 공급했다. 3.5㎓ 대역의 경우 5G 전국망 구축에 유리하고 28㎓ 대역은 상호 보완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5G 통신 장비 도입과 향후 5G 이동통신과 호환될 단말을 마련하는 것도 이통사의 과제다.
지난 14일에는 미국 라호야에서 열린 이동통신 표준화 국제협력기구(3GPP) 및 80차 무선총회에서 3GPP 및 글로벌 통신사, 네트워크 장비 제조사, 스마트폰 제조사 등 50여개 업체가 5G 국제 표준을 공표하기도 했다. 5G 글로벌 표준 완성과 주파수 경매 마무리에 따라 5G 상용 단말 · 장비 및 네트워크 구축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특히 이동통신사는 주파수 경매 이후 통신장비 발주 도입에 본격적으로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 5G 상용화를 위해서는 늦어도 9월까지는 통신장비를 발주해야 일정에 발맞춰 갈 수 있다. 이를 위해 이통 3사는 지난해부터 5G RFP(입찰제안요청서)를 발송하는 등 5G 장비 도입 준비를 본격화 했다.
장비와 네트워크가 구축된다고 해도 5G 단말이 마련돼야 이용자들이 본격적인 서비스를 누릴 수 있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 LG유플러스는 5G 단말 기술요구서를 스마트폰 제조업체인 삼성·LG전자에 배포하기도 했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국장은 "이번에 할당된 5G 주파수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기업들이 새 산업·서비스 혁신을 선도해 국민 경제와 산업 발전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에 과기정통부가 확보한 5G 주파수 경매 대가는 정보통신진흥기금, 방송통신발전기금으로 편입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