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쩐의 전쟁' 5G 주파수 경매 3.6조원에 낙찰…3.5㎓ 대역 승자는?

이동통신 3사별 5G 주파수 경매 결과(단위: 억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올해 네 번째로 진행된 주파수 경매가 시작 이틀 만인 18일 종료됐다. 이동통신사는 '출혈 경쟁' 없이 각자 실리를 찾아 빠르게 주파수 대역을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입찰 열기는 낙찰가가 4조원을 웃돌 것이라는 일부 전망과 달리 총 낙찰가 3조6183억원을 기록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날 이날 오전 9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열린 2일차 5G 이동통신 주파수 경매가 종료됐다고 밝혔다.

이날 열린 브리핑에서 류제명 과기정통부 국장은 이번 5G 주파수 경매에 대해 "통신사업자들이 5G 이동통신의 선도자가 되고자 하는 의지와 5G 시장 전망, 투자비 부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합리적으로 선택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이번 경매에서 할당할 주파수 및 대역폭은 3.5㎓(3.42∼3.7㎓) 대역의 280메가헤르츠(㎒) 폭과 28㎓(26.5∼28.9㎓) 대역의 2400㎒다

특히 5G 전국망 구축에 유용한 3.5㎓대역을 두고 이동통신사는 막판까지 수 싸움을 벌였다. 경매가 진행된 첫 날에는 이동통신 3사 모두 낙찰 받을 수 있는 최대 폭인 100㎒(10개)을 기재해 경쟁이 치열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최저경쟁가격인 948억원으로 시작한 이 대역의 1블록 가격은 968억원으로 올랐다. 총액은 2조9960억원으로, 경매 시작가인 2조6544억원 보다 3416억원 많은 금액이다.

이목이 쏠렸던 3.5㎓대역 확보 폭은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순으로 '10개-10개-8개'로 결정됐다. 애초 자금력이 풍부한 SK텔레콤은 3.5㎓대역의 '10개' 확보를 공공연하게 고수해 왔다. 관건은 KT와 LG유플러스가 어느 지점에서 10개 확보에서 물러날지였다. 때문에 업계에서는 이번 5G 주파수 경매의 최대 승자는 KT로 보고 있다. 최종 낙찰가 9680억원에 10개를 확보했기 때문이다. 경쟁사인 SK텔레콤의 경우 10개를 1조2185억원에 확보했다.

KT 측은 "이번 경매결과에 만족하며 시장원리에 따른 합리적 경매였다고 판단한다"며 "이번에 확보한 주파수는 산업과 생활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촉매제가 될 것으로 KT는 이를 활용해 5G 선도 통신사업자로 자리매김해 나아갈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3.5㎓대역 위치는 LG유플러스가 A대역(3.42~3.5㎓), KT는 B대역(3.5~3.6㎓), SK텔레콤은 C대역(3.6~3.7㎓) 순으로 결정됐다.

SK텔레콤은 이번 주파수 경매 결과에 대해 "이번 주파수 경매의 핵심인 3.5GHz 대역에서 '최대 총량'인 100㎒폭과 함께 '노른 자위'로 평가되는 C대역을 확보해 5G 상용화 선도의 초석을 마련했다"며 "C 대역은 주파수 확장이 용이하고 간섭 이슈와도 무관해 안정적인 5G 서비스 품질을 위한 최적 대역으로 평가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3.5㎓대역의 유리한 위치를 차지했다는 입장이다.

매출과 이익 규모가 이동통신 3사 중에 가장 작았던 LG유플러스는 애초 업계의 예상과 어긋나지 않게 8개 주파수 대역 확보에 만족한 것으로 보인다. 3위인 국내 통신 시장을 고려하면, 이번에 확보한 주파수 대역으로도 5G 서비스를 상용화 하기에는 충분하다는 것이다.

LG유플러스는 "데이터 트래픽이 집중되는 핫스팟 지역은 할당받은 28㎓ 주파수를 통해 고객들이 충분히 5G 속도를 누릴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며 "초고속 데이터에 걸맞는 5G 서비스 발굴하는 데에도 심혈을 기울일 예정"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3.5㎓와 함께 매물로 나온 28㎓ 대역(총 2400㎒폭)은 3사가 똑같이 800㎒폭씩 나눠가졌다. 이 대역은 경매 첫날인 15일 1라운드에서 최저경쟁가인 블록(100㎒폭)당 259억원, 총 6216억원에 낙찰됐다. 2단계에서는 7억원에 낙찰됐다.

이동통신사는 이번 경매로 확보한 5G 주파수를 내년 5G 상용화 기반으로 활용하겠다는 계획이다.

한편, 이번에 과기정통부가 확보한 5G 주파수 경매 대가는 정보통신진흥기금, 방송통신발전기금으로 편입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