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원하는 장면만, 영상 위에 책갈피…미디어 기술 '쑥쑥'

SK텔레콤 이종민 미디어기술원장이 영화나 드라마 등 미디어 콘텐츠 속 장면을 검색하는 '씬 디스커버리(Scene Discovery)' 기술을 시연하고 있다./SK텔레콤



영화나 드라마도 책에 책갈피를 꽂듯이 원하는 장면을 골라볼 수 있게 됐다. '씬 디스커버리(Scene Discovery)'로 불리는 인공지능(AI) 미디어 추천 기술을 통해서다. 시청자는 좋아하는 배우의 등장 장면만 모아서 보거나 식사신, 댄스신 등 다양한 상황의 장면을 골라 볼 수 있다.

SK텔레콤은 이 같은 서비스를 구현하는 AI 미디어 추천 기술 개발을 완료하고 연내 상용화에 나선다고 27일 밝혔다. 자사의 커머스, 음악, 스토아 등의 미디어 산업군과도 연계해 각 콘텐츠 별 교차추천도 할 방침이다. 가입자 포화 상태로 무선사업이 약화하는 시점에 AI 등 신기술을 접목한 미디어 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이종민 SK텔레콤 미디어기술원장은 이날 "'콘텐츠 스모그' 시대에 이용자가 만족할 만한 콘텐츠를 골라보기는 어려운 상황에서 핵심 경쟁력은 콘텐츠 추천 기술"이라며 "이를 통해 콘텐츠 소비가 늘어나면 자연적으로 IPTV와 '옥수수' 사업 경쟁력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씬 디스커버리 시연 모습. / SK텔레콤



씬 디스커버리는 모바일 환경에 맞는 미디어 소비 트렌트를 정조준했다. 예를 들어 영화 '라라랜드'에서 시청자가 주인공의 키스신만 보고 싶다고 하면, AI가 등장인물 중 여자 주인공인 엠마 스톤과 남자 주인공인 라이언 고슬링 얼굴을 인식한다. 두 인물이 동시에 등장하는 장면을 추출해 키스하는 상황으로 판단되는 장면을 꼽아 시청자에게 최종 추천한다. 마치 책갈피를 꽂아 원하는 부분 책을 펼치듯 영상도 원하는 부분만 골라 볼 수 있는 셈이다.

이를 위해 SK텔레콤은 자사 미디어기술원과 AI 기술 유닛, SK브로드밴드 합작으로 수천 편 분량의 영상 콘텐츠와 수백만장의 이미지를 AI에 학습시켰다. 현재 ▲2500명 이상의 국내·외 유명 배우 인물 ▲키스·웨딩·댄스·식사·번지점프 등 50여 상황 ▲계절 ▲랜드마크나 놀이공원 등 특수 장소 ▲배경 음악 등을 인식할 수 있다.

또 볼 필요가 없는 프로그램 도입부나 결말 이후 구간도 인지해 터치 한번으로 뛰어넘을 수 있다.

콘텐츠 개인화 추천 기술도 강화했다. 예를 들어 예능 프로그램을 좋아한다고 판단되는 시청자가 특정 예능 프로그램을 시청했다면, 비슷한 취향의 시청자들이 선택한 새 예능 프로그램이 홈 화면에 뜨는 식이다. 새 정보를 받아들일 때 과거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순환신경망 모델(RNN)이 적용되는 뇌 구조를 기반으로 구현됐다.

IPTV에 AI를 적용하는 기술은 SK텔레콤뿐 아니라 KT, LG유플러스 등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KT는 자사 AI 서비스 '기가지니'를 이용해 동화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소리동화'를 제공하고, LG유플러스 또한 유튜브 검색이 가능하도록 구글의 AI 음성비서 기술인 '구글 어시스턴트'를 자사 IPTV 셋톱박스에 탑재했다.

이동통신사가 AI, 가상현실(VR) 등을 결합한 콘텐츠를 내놓으며 IPTV 가입자 수(1422만281명)는 지난해 11월 케이블TV(1409만7123명) 가입자 수를 앞지르기도 했다.

특히 SK텔레콤은 자사 사업군을 활용해 향후 추가적으로 11번가나 커머스에도 AI 미디어 추천 기술을 연계할 방침이다. 영상에서 음악을 추천하고, 커머스에서 영상을 추천하는 식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음악이나 커머스, 스토아 등 다양한 미디어 패밀리 사업군을 기반으로 교차추천 하는 기술을 개발해 미디어 소비 만족도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