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이동통신 3사의 현금성 자산이 7년 동안 2배로 급증해 통신비 인하 방안이 추가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한국거래소의 '코스피 상장사들의 연결 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이동통신 3사의 현금성 자산이 지난해 말 3조8358억원으로 파악됐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2010년 1조7893억원의 2.1배 수준이다.
현금성 자산 증가율은 같은 기간 자산총액 증가율 45.3%를 크게 웃돈다. 현금성 자산은 현금과 수표, 예금 등 자산이다. 소비자 등을 위한 투자 여력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동통신 3사 중에는 SK텔레콤이 현금성 자산이 가장 많이 늘었다. 지난해 SK텔레콤의 현금성 자산은 1조4577억원으로, 2010년 3575억원의 4.1배로 늘었다. 7년간 1조1002억원 증가해 이통3사 현금성 자산 증가액 2조465억원의 절반을 웃돌았다. 같은 기간 SK텔레콤의 자산총액은 76.3%(14조4688억원) 증가했다.
KT는 지난해 말 현금성 자산이 가장 많았다. KT의 현금성 자산은 1조9282억원으로, 2010년 8943억원의 2.2배로 늘었다. 7년간 KT의 자산총액은 22.7%(5조4796억원) 늘었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말 현금성 자산이 4499억원으로 2010년 5375억원보다 876억원 줄었지만, 2008년 501억원에 비해서는 9배가 늘었다. LG유플러스의 자산총액은 2010년 이후 40%(3조4103억원) 증가했다.
박광온 의원은 "이동통신 3사의 현금성 자산 증가율이 자산총액 증가율을 크게 웃돌면서 소비자를 위한 투자보다 곳간 채우기에 급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며 "국민의 통신비 부담을 덜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민해야 한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