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그룹에서 '전략통'으로 통했던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이 23일로 취임 100일을 맞았다. "생각보다는 행동으로 더 많이 움직여야 한다"는 그의 지론대로 현장경영에 집중했지만, 5세대(5G) 이동통신 상용화 등 미래 먹거리 선점과 유료방송 시장 정비 등 헤쳐가야 할 과제가 산적하다.
하현회 부회장은 1985년 LG금속으로 입사해 LG디스플레이, LG전자, ㈜LG 등을 거쳐 조직 내 대표적인 경영기획통으로 꼽힌다. 특히 LG전자 HE사업본부장 시절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를 최초로 출시해 TV 부문의 성장 동력을 다졌다.
하현회 부회장이 취임 이후 집중한 것은 '현장경영'이다. 하 부회장은 업무현안을 파악한 취임 4주차부터 네트워크와 서비스 연구개발 부서가 상주하는 마곡 사옥에 수시로 방문해 5G 상용화를 챙겼다. 매주 목요일에는 전국 각 영업지점과 네트워크 국사 방문에 나서며 각 지역으로 경영행보를 확대하고 있다.
3·4분기에도 LG유플러스는 휴대전화 가입자가 늘고 인터넷TV(IPTV) 등이 성장세를 이어가 이동통신 3사 중 유일하게 영업이익 증가세를 보일 전망이다. 증권가에 따르면 LG유플러스의 3분기 예상 매출은 3조391억원으로 작년보다 0.7%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2203억원으로 2.9%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앞으로 풀어야 할 과제도 산적해 있다. 당장 내년 초 상용화 예정인 5G 이슈가 있다. '만년 3위'인 LG유플러스가 도약할 기회는 5G 경쟁이다. 여기서 주도권을 잡아야 미래 먹거리를 확보하고 고착화 된 이동통신 시장의 반전을 꾀할 수 있다.
중국 화웨이의 5G 장비 도입 문제도 '뜨거운 감자'로 부상해 있다. 롱텀에볼루션(LTE) 망 구축 당시 이동통신 3사 중 유일하게 화웨이의 장비를 택했던 LG유플러스는 향후 LTE와 5G 장비 연동을 위해서도 또 다시 화웨이의 장비를 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내부적으로는 5G망 구축에 삼성전자, 노키아와 함께 화웨이 장비를 도입하기로 결론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화웨이 장비 채택 가능성을 언급한 권 부회장의 기조를 하 부회장이 이어간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보안 이슈와 국내의 부정적인 여론이 걸림돌로 남는다. 중국산 장비 도입에 대해 국민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첫 시험대는 오는 26일에 서게 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종합 국정감사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하현회 부회장은 국회에서 열리는 과기정통부 종합감사에 박정호 SK텔레콤 사장과 함께 증인으로 출석한다. 하 부회장에게는 5G 장비 선정에 대한 질문이 쏟아질 것으로 보이며 그의 입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케이블방송 사업자 인수 문제도 하 부회장이 추진해야 할 과제 중 하나다. 5G 상용화 시대에 IPTV 등 미디어를 주요 수익 모델로 삼고 있는 LG유플러스의 경우 몸집이 큰 케이블TV 사업자를 인수해 덩치를 키워야 한다는 절박함이 있다.
LG유플러스는 최근 불거진 CJ헬로 인수설에 대해서는 "사실무근"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CJ헬로를 포함한 케이블TV 인수를 검토하는 것은 맞지만 계속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8월 한국거래소가 LG유플러스에 요구한 CJ헬로 인수설 조회공시 요구에도 "다각도로 검토 중"이라고 답변한 바 있다.
현재 IPTV 시장은 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가 5대 3대 2의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다. '규모의 경제'가 필요한 유료방송시장에서 규모가 있는 케이블TV 인수전에 성공하면 순위를 뒤집을 수 있는 기회를 잡을 수 있다.
5G 장비 선정, 국감 등의 이슈가 마무리되면 케이블TV 인수에도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