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게임

국감 도마 위 오른 확률형 게임 아이템, 김택진 대표 "'리니지' 사행성 게임 아냐"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앞줄 왼쪽 세번째)가 2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문화체육관광부 등에 대한 종합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 김나인 기자



29일 국회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종합감사에서는 '확률형 아이템'과 관련해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에 대한 의원들의 포화가 이어졌다. '리니지' 게임으로 대표되는 확률형 아이템에 대해 규제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택진 대표는 "'리니지' 게임 내에서는 사행성을 유도하지 않는다"며 "확률형 아이템은 아이템을 가장 공정하게 이용자들에게 나눠주기 위한 것"이라고 했다.

다만, 청소년에 한해 모바일 게임의 확률형 아이템 한도 도입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했다.

확률형 아이템은 속칭 '뽑기'라고 불리는데, 일정금액을 내고 구매하지만 구체적인 종류와 효과·성능 등은 확률에 따라 결정되는 게임 아이템이다. 게임사의 대표적인 주요 매출원으로도 꼽힌다. 이용자들은 좋은 아이템을 뽑기 위해 수백만원을 쏟아 붓기도 하는 등 사실상 도박과 같은 '사행성'을 조장한다는 지적도 그간 이어져왔다.

국감 증인으로 출석한 김택진 대표는 대규모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인 '리니지'를 만든 회사의 수장이다. 1998년 최초로 출시된 리니지의 경우 PC와 모바일 게임 등이 확률형 아이템 등으로 사행성 논란을 일으킨 대표적인 게임으로 꼽힌다. 국감 증인에 참석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 대표를 증인으로 요청한 국회 문체위 손혜원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이날 사진과 동영상, 시를 인용하는 등 확률형 아이템의 문제점을 알리는 데 주력했다.

손 의원은 "엔씨소프트의 '리니지M'은 1년 만에 1조원 매출을 이룬 놀라운 결과를 낸 게임이다. 게임은 반드시 진흥돼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다"라고 말문을 열었다. 그러나 그는 "백만 중 90%는 무료로 즐기고 그 중 10만명이 돈을 내면서 게임을 즐기고 있는데 그 중 일부가 사행성에 빠져 원성을 듣고 있다"고 말했다.

손혜원 의원은 "온라인 리니지 게임에서는 확률형 아이템 한도가 있지만 모바일로 오면서 한도가 없어져서 문제"라며 "아이템을 획득하면 마치 '잭팟'과 같이 똑같은 일이 발생한다. 생각지 못한 폐해가 이용자에게 돌아간다면 규제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해외에서도 벨기에에서 작년에 이를 도박으로 규정했고, 유럽에서도 확률형 아이템과 관련된 게임은 사행성 게임으로 규제하려 한다고 덧붙였다.

조경태 자유한국당 의원도 "모 게임사의 확률형 아이템 확률이 로또 당첨 확률과 같다"며 "청소년들이 어릴 때 이와 같은 도박에 빠지지 않도록 특단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인숙 자유한국당 의원 역시 "결국은 돈"이라며 "인터넷과 같이 모바일도 확률형 아이템에 대해 한도 제한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김택진 대표는 "청소년 보호 문제는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보호 장치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청소년의 모바일 게임 확률형 아이템 한도를 적극 검토하겠다"고 공감을 표했다.

다만, 그는 확률형 아이템이 사행성을 조장한다는 의원들의 지적에는 아니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또 청소년 보호 문제는 한 게임사뿐 아니라 플랫폼 자체의 문제를 바꿔야 한다고 주장을 이어가기도 했다.

김택진 대표는 "청소년 보호 문제는 게임사 하나의 힘으로는 안 된다. 확률형 아이템에 대해 청소년에 한해 결제 한도를 도입하고 싶어도 모바일의 경우 구글 등이 운영하는 앱 스토어가 고객정보를 주지 않기 때문에 어렵다"며 "청소년 보호 장치는 많은 이해관계자들이 같이 의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도 확률형 아이템의 사행성 문제에 대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겠다는 방침이다.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확률형 아이템 사행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게임산업협회와 업무협약을 맺고 강화된 자율규제를 추진 중"이라며 "특히 청소년 보호방안에 대한 부분은 더 구체적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자율규제 이행사항을 게임물관리위원회와 소비자위원회와 함께 분석, 평가해 바람직한 정책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