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사업을 벗어나 신사업이 절실한 것은 트렌드가 빨리 바뀌는 정보기술(IT) 업계도 마찬가지다. 트렌드에 민감한 게임사들이 '미래 먹거리' 발굴을 위해 몰두하고 있다. 특히 자회사를 통해 4차 산업혁명 첨단에 있는 블록체인에 집중, 선점 경쟁에 나서고 있는 추세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주요 게임사들은 자회사나 별도의 사업팀을 구성해 블록체인 기술 개발과 스터디에 전념하고 있다. 블록체인 관련 기업 인수도 활발하다.
블록체인은 네트워크 참여자가 공동으로 거래 정보를 검증하고 블록 처리를 통해 기록, 보관해 공인된 제3자가 없이도 신뢰를 확보하는 기술이다. 게임사에서 블록체인을 도입하면, 게임 내 결제시스템이나 아이템을 거래할 때 이용할 수 있다. 암호화폐처럼 게임머니를 기반으로 채굴하거나 보상해주는 것도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다.
가장 적극적으로 나서는 게임사는 넥슨이다. 넥슨은 지난 30일 지수회사 NXC를 통해 국내 가상화폐 '코빗' 인수에 이어 유럽의 가상화폐 거래소 '비트스탬프'를 인수했다. 코빗을 인수한 지 1년 만이다. 비트스탬프는 세계에서 가장 큰 가상화폐 거래소 중 하나로 꼽힌다.
NXC 측은 "블록체인 기술의 성장가능성과 잠재성이 높다고 판단했고, 거래소는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이 발전하는데 가장 기반이 되는 플랫폼으로 광범위한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 파악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한국과 유럽에서 가장 신뢰할 만한 거래소를 인수했다는 설명이다. NXC는 코빗과 비트스탬프를 독립적으로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게임과 직접적으로 연계하기보다는 암호화폐를 독립적인 사업 포트폴리오로 추가하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대기업에 비해 자금 조달 능력이 떨어지는 중견·중소 게임사도 블록체인 스터디나 기술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위메이드 엔터테인먼트는 올해 초 블록체인 자회사인 위메이드트리를 설립했다. 위메이드트리는 지난 26일 신규 블록체인 서비스를 공개하기도 했다. 위메이드트리는 독자적인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축해 게임과 결합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프라이빗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서비스에서 생성된 재화들은 위메이드트리가 제공하는 지갑을 통해 서로 공유되고 교환할 수 있다. 자체 지갑의 개발도 완료했고, 거래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블록 스캐너의 개발도 마무리 단계다. 현재 내부에서 이를 게임에 적용하는 테스트를 거치고 있다. 위메이드트리의 인원도 초기 두 명에서 시작해 현재 10여명으로 늘어났다.
블록체인과 e스포츠를 결합한 신사업을 준비 중이라고 공표한 액토즈소프트도 연내 초기 버전의 e스포츠 블록체인 플랫폼을 공개할 방침이다. 액토즈 관계자는 "12월 즈음 초기 버전의 e스포츠 블록체인 플랫폼 지원 기능이 오픈될 예정"이라며 "오픈된 플랫폼을 기반으로 뒤에 기술을 차례로 추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엠게임도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을 제공하는 다빈치재단과 손잡고 블록체인 기술을 게임에 접목시키기 위한 연구개발에 나설 예정이다.
블록체인 전문 기업, 게임 개발사들이 파트너십을 맺기도 한다. 최근 결성된 '블록체인 게임 연합'에는 엔진을 비롯해 글로벌 게임 개발사 유비소프트, 컨센시스, 알토, B2익스펜드, 울트라, 피그, 김리, 에버드림소프트 등 9개 업체가 합류했다.
업계 관계자는 "대부분 게임사들은 새로운 기술이 나오면 관심을 가지고 발을 담그려고 한다"며 "흥행에 따른 위험부담이 높은 게임만으로 살아남기에는 한계가 있어 블록체인 뿐 아니라 '미래 먹거리'로 남을 분야에 뛰어드는 추세는 앞으로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