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이통3사, 세계 첫 5G 상용전파 송출…첫 5G 고객은?

1일 0시 SK텔레콤 박정호 사장(왼쪽 5번째)을 비롯한 임직원과 외부 관계자들이 5G 전파 송출 스위치를 누르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유영상 SKT 코퍼레이트센터장, 강종렬 ICT인프라센터장, 문창수 지엔에스기술 대표, 이현용 SKT 매니저, 박정호 사장, 서성원 MNO사업부장, 이경윤 명화공업 이사, 권순택 대교대리점 대표, 박진효 SKT ICT기술원장. / SK텔레콤



국내 이동통신 3사가 이달 1일 0시를 기점으로 세계 첫 5세대(5G) 상용 전파 송출로 '5G 시대' 개막을 선언했다. 미래 국가를 이끌 4차 산업혁명의 기초가 되는 5G는 초광대역, 초저지연, 초연결이 특징이다. 롱텀에볼루션(LTE)의 한계를 극복해 음성통화, 인터넷뿐 아니라 자동차, 드론, 원격의료, 스마트팩토리 등 미래의 융합 산업을 아우를 것으로 전망된다.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일 오전 경기 분당에 위치한 SK텔레콤 인프라관리센터를 방문해 "최근 발생한 통신구 화재 사고에서 보듯 5G 기반 초연결 시대에는 통신 인프라의 안전성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국민이 안심하고 5G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가자"고 강조했다.

이동통신사 최고경영자(CEO)도 5G 출발을 기념했다.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은 "5G에는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는 무한한 가능성이 있다"며 "SK텔레콤은 CDMA 디지털 이동전화부터 LTE까지 모바일 신세계를 이끌어 온 ICT리더로서 소명감을 갖고 5G가 불러올 새로운 미래를 여는 선구자가 되자"고 강조했다.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은 "'집을 굉장히 크게 짓기 시작함'을 의미하는 '대기가사(大起家舍)'라는 말이 있듯이 우리 회사의 10년 성장동력이 될 5G 서비스가 이 자리에서 시작됐다"며 "내년 3월 본격적인 단말기가 출시 될 때까지 5G 커버리지 확대에 주력하고 네트워크 안전 관리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5G 전파는 서울, 경기도 성남·안산·화성·시흥, 6대 광역시, 제주도 서귀포시, 울릉도·독도 등 13개 시·군 주요 지역에 제공된다.

5G 첫 통화는 분당에 있는 박정호 사장과 '세계 5G 1번지' 서울 명동에 위치한 SK텔레콤 박숙희 매니저 간에 이뤄졌다. 통화에는 삼성전자 5G스마트폰 시제품이 활용됐다. 이어 SK텔레콤은 분당 네트워크 관리센터-부산 해운대·대전 둔산동·광주 금남로 간 5G 통화에 차례로 성공했다.

1일 KT 5G 머신 1호 가입자인 인공지능 로봇 '로타'가 KT 관계자들과 함께 환호하고 있다./ KT



KT는 1일 과천 네트워크관제센터에서 황창규 회장을 비롯한 주요 임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5G 상용 전파 첫 송출을 기념하는 행사를 열었다. KT는 1일 자정(0시)을 기점으로 3.5㎓의 100㎒ 대역 5G 전파 송출을 통해 5G 상용망을 개통했다. 또 전국 주요 24개시를 비롯하여 고속도로, 지하철, KTX 등 주요 이동경로와 초기 트래픽 집중이 예상되는 대학교와 주변 상권에 우선적으로 5G 네트워크를 추가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LG유플러스도 1일 자정 서울 마곡 사옥에서 세계 최초 5G 전파 송출 행사에 참석해 첫 5G 전파 발사 점등식, 깃발 꽂기 세레머니 등을 진행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하현회 부회장이 직접 시연에 나섰다. 대전기술원에서 서울 마곡 사옥에 5G망을 이용한 '화상통화'를 걸어 5G 영상 데이터를 서울 마곡 사옥에 전송, 서로의 화면을 연결했다. 5G 기지국이 현재 4100여 곳으로 이동통신 3사 중 가장 많은 지역을 구축한 LG유플러스는 이달 말까지 5G 기지국 7000개 이상을 구축할 예정이다.

5G 서비스는 기업 고객에게 먼저 제공될 예정이다. 개인 고객은 5G용 스마트폰 단말이 출시되는 내년 3월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1일 5G 1호 고객사인 안산 반월공단의 명화공업은 '5G-AI 머신 비전' 솔루션을 가동했다. 이 솔루션은 자동차 부품이 컨베이어 벨트를 지나가는 동안 1200만 화소 카메라로 사진 24장을 찍어 5G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의 고성능 인공지능(AI)은 사진을 판독해 제품에 결함이 있는지 확인했다. SK텔레콤 5G자율주행차는 경기 화성 자율주행실증도시 'K-City'와 시흥 일반도로에서 테스트 운행을 시작했다.

KT의 5G 1호 가입자는 AI 로봇 '로타'다. 단순한 이동통신 세대의 교체가 아닌 생활과 산업 전반을 혁신하는 플랫폼이 될 것이라는 의미를 담았다. KT는 이번 1호 머신 가입자를 시작으로 하여 2호, 3호의 머신 및 기업 간 거래(B2B) 파일럿 가입자로 영역을 확장해 나갈 예정이다. 5G MHS(모바일 핫스팟) 단말은 전용 요금제인 4만9500원에 10GB를 제공한다.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맨 우측)이 1일 자정 서울 마곡 사옥에서 주요 경영진들과 깃발 꽂기 세레머니를 하고 있다./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 5G 서비스 국내 1호 고객은 경기도 안양시에 위치한 LS엠트론이다. LS엠트론은 LG유플러스와 함께 '5G 원격제어 트랙터'를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리자는 마치 실제 트랙터 조종석에 앉아서 운전하는 것처럼 트랙터를 원격 조종하며 관제센터 모니터에서 작업현황을 영상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5G 원격제어 기술을 지뢰제거나 폐기물 처리, 건물철거 등 위험한 산업현장의 중장비에도 접목해 인명피해를 방지하는데 활용할 계획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