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생산라인도 아이언맨 슈트처럼…5G로 실현될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엿보니

생산라인을 마치 블록 쌓듯 만들 수 있는 5G 스마트 유연생산 설비 모습. / SK텔레콤



20일 경기도 안산시 '스마트제조혁신센터'. 로봇 팔이 달린 5G 소형 자율주행 로봇(AMR)이 하단에 달린 바퀴 4개로 이리저리 움직인다. 앞에 사람이나 장애물이 있으면 스스로 인지해 멈춰 눈길을 끌었다. 옆에 있는 5G 스마트 유연생산 설비는 생산라인을 마치 블록 쌓든 만든다. 생산, 검수, 포장 등을 담당하는 모듈 6개가 모여 하나의 제품 생산 라인이 만들어진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주행데이터가 실시간으로 클라우드에 송수신된다"며 "모듈끼리 마치 아이언맨 슈트가 날아오듯 도킹을 할 수 있어 기존 공장 라인이 무의미해진다"고 설명했다.

지난 1일 5세대(5G) 이동통신 전파를 쏘고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5G 서비스를 시작한 SK텔레콤이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스마트팩토리 확산에 나선다. SK그룹 내 제조사와도 협업을 논의하고 있다.

장홍성 SK텔레콤 IoT/데이터사업단장이 5G 소형 자율주행로봇이 전달하는 마이크를 받고 있다./ SK텔레콤



장홍성 SK텔레콤 IoT·데이터 사업단장은 "우리나라 강점은 제조 산업인데 향후 10~20년 후에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냐는 근본 질문이 있다"며 "5G의 연결성을 통해 제조업과 정보기술(IT) 접목으로 기업 간 거래(B2B) 비즈니스 모델을 도입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SK텔레콤은 5G 전파 송출 이후 1호 고객사로 안산 반월공단의 명화공업을 택한 바 있다. 이날 시연장에서는 명화공업에 도입된 '5G-AI 머신비전'을 엿볼 수 있었다. 부품이 컨베이어 벨트를 지나가는 동안 1200만 화소 카메라로 사진 24장을 찍어 5G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해 순식간에 제품에 결함이 있는지 판단하는 식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1인당 생산성을 최대 2배까지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5G 시대에는 기업 간 거래(B2B), 공공(B2G)분야의 플랫폼과 연계해 스마트시티, 스마트팩토리 등이 현실로 구현될 것으로 예측된다. 비즈니스 영역을 넓힌 셈이다. SK텔레콤 또한 B2B 영역을 위주로 5G 서비스 상용화에 몰두하고 있다.

이날 방문한 스마트제조혁신은 국내 제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해 스마트 제조에 대한 연구개발, 시험, 테스트를 수행하는 조직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민관합동 추진단에서 운영하고 있다.

SK텔레콤은 많은 제조 공장이 스마트팩토리로 쉽게 전환될 수 있도록 5G네트워크·특화 솔루션·데이터 분석 플랫폼·단말을 '올인원 패키지'로 제공키로 했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스마트팩토리를 도입한 기업은 지난 3년간 생산성 30% 향상, 불량률 43.5% · 원가 15.9% 감소 성과를 냈다.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은 5G가 전세계 제조업에서 오는 2035년 약 3조3640억 달러의 경제 효과를 유발한다고 예상했다.

송병훈 스마트제조혁신센터 센터장은 "5G 시대에는 연결성과 데이터 지능화가 중요해 이를 바탕으로 로봇 센서 등과 융합되는 게 특징"이라며 "이를 통해 실질적으로 새 BM 모델을 만들고 산업의 근본 개념을 바꿀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G의 특징은 초저지연이다. 롱텀에볼루션(LTE)보다 지연속도가 10분의 1로 줄어든다. 기존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제한적이던 서비스와 기술이 초저지연으로 순간 반응이 필요한 스마트팩토리, 자율주행차가 가능해지게 하는 셈이다. 모바일 로봇 여러 대가 동시에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5G로 연결돼 와이파이 연결보다 움직임 범위가 넓고, 안정성이 뛰어나다고 SK텔레콤 측은 설명했다.

이날 스마트제조혁신센터에서 시연에 나선 솔루션은 5G 다기능 협업 로봇, 5G 스마트 유연생산 설비, 5G 소형 자율주행 로봇, AR스마트 글래스, 5G-AI머신비전 등 다섯 종류다.

국내 1호 5G 산업용 솔루션인 5G-AI머신비전은 도입을 위해 SK텔레콤은 여러 사업자들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5G 다기능 협업 로봇은 카트형 로봇으로 내부 공간에 스스로 상품을 적재하고 자율주행으로 이동한다. 제품을 옮기거나 불량품을 운송하는데 주로 쓰인다. SK텔레콤은 이 로봇을 자동차 부품 전문기업 '셰플러', 광학기기 업체 '씨메스', 자동화S/W 업체 '엔스퀘어' 등과 공동 개발했다. 셰플러 안산 공장에 내년 1분기 상용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모바일 엣지 컴퓨팅',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슬라이싱' 등이 기술이 활용됐다.

장홍성 IoT·데이터 사업단장은 "5G 상용화로 스마트팩토리 개발과 구축을 우리나라가 주도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렸다"며, "다른 ICT회사, 공장자동화 전문기업과 협업하며 새로운 5G 팩토리 생태계 구축에 앞장서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