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페이스북, SKB에 망 사용료 낸다…구글·넷플릭스도 '촉각'

글로벌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페이스북이 2010년 국내 시장 진출 후 처음으로 SK브로드밴드에 망 사용료를 지급하기로 했다. 이번 결정이 구글이나 넷플릭스 등에도 영향을 끼칠지 업계의 이목이 주목된다.

27일 정보기술(IT)업계 등에 따르면 페이스북과 SK브로드밴드는 2년여간 끌어온 망 사용료 협상을 24일 타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망 사용료란, 통신사 망을 활용해 콘텐츠를 전송한 대가로 지불하는 사용료를 뜻한다. 페이스북 등 해외 IT 기업은 그간 국내 캐시서버 구축 비용 등 망 사용료를 내지 않았다는 논란이 있었다.

페이스북은 SK브로드밴드에 2년간 상당한 규모의 망 사용료를 지급하기로 했으며, 계약 만료 한 달 전까지 특별한 요구가 없으면 계약을 2년간 자동 연장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페이스북이 SK브로드밴드에 망 사용료를 지급하는 것은 2010년 국내 시장에 본격 진출한 이후 처음이다.

페이스북이 우리나라에서 SK브로드밴드를 포함해 2∼3개 통신사에 망 사용료를 내면 구글과 유튜브, 넷플릭스 등 다른 글로벌 콘텐츠제공자(CP)와의 망 사용료 계약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페이스북이 지난해 7월 계약 기간 종료 이후 갱신 협상을 하는 KT와도 계약을 연장하면 한 국가에서 2개 통신사에 망 사용료를 지급하는 이례적인 사례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양 측은 구체적인 망 사용료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페이스북이 지난해 제안했던 금액이나 SK브로드밴드가 작년 페이스북 관련 서비스를 위해 투입한 비용보다는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페이스북이 SK브로드밴드에 망 사용료를 지급키로 한 것은 악화된 국내 여론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그간 구글, 페이스북 같은 글로벌 CP들은 협상력의 우위를 이용해 망 이용대가를 내지 않거나 국내 사업자와 비교해 현저하게 적게 내는 등 역차별 이슈와 얽힌 바 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해 3월 "접속경로 임의변경으로 국내 이용자에 불이익을 끼쳤다"며 페이스북에 과징금 3억9600만원을 부과하고 시정조치 명령을 내리기도 했다.

넷플릭도 지난해 10월 SK브로드밴드의 망 사용료 지급 요구에 긍정적인 답변을 보냈지만 11월 LG유플러스의 IPTV(U+tv) 셋톱박스를 활용해 직접 콘텐츠를 공급한 이후로는 협상 요구에 응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