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E 서비스 평가결과.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설 연휴 '민족 대이동'이 본격 시작됐다. 귀성길이나 내가 사는 지역에서 어느 통신사가 빠른지 비교해 볼 수 있게 됐다. 데이터나 와이파이 등 통신이 취약한 지역이나 터미널, 공항 등 전국 주요 교통 시설에서도 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4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가 '스마트초이스'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한 전국 통신 서비스 커버리지 맵에 따르면, 도심과 농어촌·전국 지하철에서 SK텔레콤의 롱텀에볼루션(LTE) 속도가 가장 빨랐다. KT는 와이파이(WiFi) 속도가 이동통신 3사 중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이번에 공개된 전국 통신 서비스 커버리지 맵은 평가기간을 확대하고, 테마지역 측정 건수를 늘려 거주 지역의 통신사별 속도, 서비스 범위 및 종류 등을 상세히 공개했다.
도시 유형별로는 대도시의 다운로드 속도가 가장 빠르며, 도농간의 격차는 31.01메가비피에스(Mbps)로 전년 대비 격차가 줄어들었다.
이동통신 3사 평균 권역별 다운로드 속도는 광주광역시가 185.52Mbps로 가장 빠르고, 경상북도가 125.51Mbps로 가장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에서 유동 인구가 많고 상권이 발달한 트래픽 밀집 지역의 통신 속도를 살펴보면, SK텔레콤의 LTE 속도가 가장 빨랐다. 서울 홍대거리, 이태원거리, 부천역 로데오거리, 부산 서면지하상가 등 전국 유동인구 밀집지역 총 31곳에서 SK텔레콤이 22곳에서 빠른 속도를 보였다.
SK텔레콤 관계자는 "5밴드 CA(Carrier Aggregation) 및 4X4 다중안테나 시설을 통해 서울·인천·부산·광주 등 주요 광역시 트래픽 밀집 지역 최고속도 1기가비피에스(Gbps) 구현 커버리지를 확대했다"고 말했다.
설 명절 이용객 급증이 예상되는 터미널과 공항, KTX 역사 등 주요 교통 이용시설에서도 SK텔레콤의 LTE가 가장 빠른 곳은 14곳, KT와 LG유플러스는 각각 2곳을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