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종원 청와대 경제수석비서관이 문재인 대통령의 올해 첫 순방에 대해 입을 열었다. 문 대통령은 올해 첫 순방으로 오는 10일부터 12일까지 브루나이를, 12일부터 14일까지 말레이시아를, 14일부터 16일까지 캄보디아를 각각 방문한다. 이들 아시아 3국은 문 대통령이 진행 중인 신남방정책과 매우 연관이 깊다. 신남방정책은 우리나라 기준 남쪽에 위치한 아시아 주요국가들과의 경제·사회·정치적 협력을 모색하는 문 대통령의 외교전략이다.
윤 경제수석은 8일 춘추관에서 취재진과 만나 '문 대통령의 올해 첫 순방에 따른 기대성과'를 언급했다. 윤 경제수석의 기대성과를 요약하면 이렇다. 브루나이·말레이시아·캄보디아 3국은 자원·인적이 풍부한 이른바 '경제적 저평가우량국'이다. 이들 3국과의 경제협력 심화를 통해 G2(세계경제를 주도하는 미국·중국)에 편중된 우리나라 교역시장 다변화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브루나이다. 윤 경제수석에 따르면, 브루나이는 인구 43만의 소국이다. 그러나 원유와 LNG(액화천연가스)를 기반으로 1인당 GDP(국내총생산)가 3만불이 넘는 자원부국이다. 실제 우리나라는 지난 1997년부터 작년까지 100만톤 내외의 LNG를 브루나이에서 수입했다. 따라서 문 대통령은 이번 브루나이 순방 때 LNG를 단순히 수입하는 차원을 넘어 '에너지 개발'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문 대통령은 브루나이 최대 건설공사로 우리나라 기업이 현재 진행 중인 '템부롱 대교 사업' 현장을 방문해 근로자들을 격려할 예정이다. 템부롱 대교는 동서로 분리된 브루나이 국토를 연결하는 교량으로 오는 5월 완공 예정이다. 템부롱교 4개 공구 중 핵심구간인 해상교량 부분 2개 공구를 대림산업이 6억불에 수주했다.
다음은 말레이시아다. 말레이시아는 인구 3000만, 1인당 GDP 1만불 수준의 큰 경제국이다. 또 풍부한 천연자원과 우수한 인적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이 때문에 말레이시아는 아세안 비즈니스 허브로 불린다. 더욱이 말레이시아는 아세안 국가 중 우리나라의 4번째 교역상대국(작년 기준 191억불)이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기업 약 300개가 말레이시아에 진출했다. 따라서 문 대통령은 말레이사아 순방 때 한-말레이시아 비즈니스 포럼 기조연설 등을 통해 양국간 두터운 경제협력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마지막은 캄보디아다. 캄보디아는 1인당 GDP가 1500불이지만 적극적인 외국인 투자유치를 바탕으로 해마다 7%가 넘는 성장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 기업 약 200개가 캄보디아에 진출했다. 문 대통령은 캄보디아 순방 때 금융분야 협력을 강화시킬 예정이다. 윤 경제수석은 "특히 금융분야에서 국가지급결제시스템 구축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사업을 우리나라 금융결제원과 캄보디아 중앙은행이 공동 진행 중"이라고 했다.
윤 경제수석과 함께 동석한 김현종 국가안보실 제2차장 역시 "브루나이·말레이시아·캄보디아 3국은 우리 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 중인 '신남방정책'의 중요한 협력 파트너들"이라며 "우리의 '신남방정책'에 대해 아세안역내 인식을 제고하고, 모두가 실질 성과를 체감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도출할 예정"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