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자율주행차 'A1'이 서울 강변북로를 달리고 있다. / LG유플러스
"자율주행을 시작합니다. 오늘 구간은 강변북로, 영동대교, 올림픽대로, 성수대교, 서울숲 주차장까지입니다."
11일 오전, LG유플러스가 한양대학교와 손잡고 공동개발한 5세대(5G) 이동통신 기반의 자율주행차가 도심 도로 운전에 나서자 여기저기 감탄사가 터졌다. 운전대와 가속·제동 장치에서 손발을 뗀 차량 탑승자들은 초반 긴장된 모습을 보였지만, 부드러운 운행으로 여유를 되찾았다.
5G 이동통신 기반 자율주행차가 일반 차량들과 서울 도심 도로를 달렸다. LG유플러스에 따르면, 5G 자율주행차가 통제되지 않은 도심 도로에서 일반 차량들 틈에 섞여 달리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양대학교 자동차전자제어연구실 'ACE 랩'과 LG유플러스는 11일 한양대학교 서울 캠퍼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5G 이동통신 기반의 도심도로 자율주행 기술을 공개 시연했다.
AI 운행 모습. 운전석에 앉은 탑승자가 손발을 떼고 탑승하고 있다./ 김나인 기자
이번에 선보이는 5G 자율주행차는 'A1(에이원)'이다. 미국 자동차 공학회(SAE) 분류 기준 중 4단계 '고도 자율주행'에 가깝다. 운전자의 개입 없이 스스로 주행 가능한 단계를 의미한다. 5단계 '완전 자율주행'은 사람이 타지 않고도 움직이는 무인차로, 이날 시연은 바로 아랫단계 수준에서 진행됐다.
한양대학교 ACE 랩 선우명호 교수는 "5G 자율주행차는 교통체증 해소, 안전사고 예방 등 사회적 문제 해결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집약체"라며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돕고 돌발 변수에 대응하는 능력을 지속적으로 진화시켜 궁극적으로 완전 자율주행(5단계) 기술을 선보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성수동 한강사업본부에서 출발한 A1은 강변북로-영동대교-올림픽대로-성수대교를 거쳐 서울숲 공영주차장에 도착하는 약 8㎞의 거리를 20여분 동안 스스로 주행했다.
강변북로에 진입하는 순간에도 시속 60㎞를 유지하며 일반 차량들 흐름에 맞춰 서행으로 자연스럽게 도로에 합류했다. 규정 제한 속도인 80㎞ 이하를 유지하며, 안정적인 운행을 한 셈이다. A1은 각 도로마다 부착된 속도 제한 표지판을 스스로 읽고 이를 실제 주행 속도에 반영하는 기술을 갖췄다. 과속방지턱도 스스로 인식해 주행 속도를 줄였다.
사고로 인한 돌발 상황에도 신속한 판단으로 경로 변경에도 나서기도 했다. 서울숲 정문에 사고가 관제돼 도착 시간이 지연되자 '목적지가 변경됐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오고, 사고 차량의 정보가 전달됐다. A1은 차선 내 사고 차량을 피해 즉각 서울숲 후면 주차장으로 경로를 변경했다.
어두운 터널로 진입할 때도 끊기거나 오류가 나지 않았다. A1에는 레이저 펄스를 발사해 주변의 모습을 그려내는 라이다, 카메라, 전자기파를 발사해 속도 등을 탐지하는 레이더가 장착됐다. 밤, 낮이나 비가 오는 등 악천후로 인한 외부 상황 영향을 받지 않는다. 때문에 다양한 센서 정보로 주변 상황을 인지, 주행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
LG유플러스 모델이 5G 자율주행차 'A1' 주행 중 휴대폰을 하고 있다./ LG유플러스
자율주행 시대가 열리면, 교통사고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매년 교통사고로 130만명이 목숨을 잃는데, 그 중 90%가 운전자 부주의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차량 탑승자는 차 안에서 출근길 화장이나 독서를 하고, 미디어를 시청할 수 있는 등 개인 시간 활용도가 커진다.
이날 시연자는 차 안에서 가상현실(VR) 전용 헤드셋(HMD)을 착용하고, VR 콘텐츠를 감상하기도 했다. LG유플러스는 5G 상용화와 관련, 자율주행차 안에도 즐길 수 있는 VR 콘텐츠 개발에도 나서고 있다.
국내 규제로 인한 자율주행차 기술 개발 한계점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선우명호 교수는 "해외에서는 바이두가 2000대, 미국 구글의 자회사 웨이모가 6만대 정도 자율주행 사업을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전체 자율주행 허가를 받은 차량이 60대 밖에 되지 않는다"며 "자율주행 알고리즘이 우리나라도 세계적 수준이지만 카메라 등의 핵심 원천기술이 해외에 있고 알고리즘을 정교화하는 인프라가 부족하다"고 말했다.
이상민 LG유플러스 FC부문장 전무는 "5G 통신망의 초저지연성은 자율주행차의 안정성을 높여줄 핵심 요소로 꼽힌다"며 "한양대학교 ACE 랩의 앞선 자율주행 기술과 LG유플러스의 5G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공동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LG유플러스는 자율주행차를 보유하고 있지는 않지만, 현대자동차 등 국내 완성차 업체 및 관련 사업자와 손잡고 자율주행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번 시연을 계기로 상용차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도 드라이브를 걸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