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시장의 파도가 잠잠해지면서 한국 증시와 '와타나베 부인(엔 캐리 트레이드)'의 스캔들로 이어질지 관심이 집중된다. G2(미국·중국) 무역협상 타결 기대감, 각국 중앙은행의 완화적 통화정책 등으로 외환시장의 변동성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다만 캐리 트레이드가 확대될 경우 국내 금융시장에 유동성은 늘지만 자산가격 상승, 외채 증가 등의 영향이 나타날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
지난 2000년대 중반엔 와타나베 부인(엔 캐리),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스미스 부인(달러 캐리)'의 한국 증시 사랑이 각별했다. 여기에 '왕씨 부인'으로 불리는 차이나 머니(중국계 자금) 등 바깥 나라 '부인'들이 우리 증시를 기웃거리다 보니 이런 말이 나온 것.
◆ 외환 변동성 안정적
12일 신한금융투자와 투자금융(IB)업계에 따르면 외환시장의 변동성이 낮아지면서 '캐리 트레이드' 유인이 증가하고 있다.
전세계에서 거래가 가장 활발한 주요 10개국(G10) 통화의 대미 환율 평균 내재변동성은 7.3% 수준으로 2014년 이후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다. 외환시장의 심리가 한 방향으로 쏠릴 경우 확대되는 리스크 전환 지표도 2010년 이후 하위 20%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신한금융투자 박재위 연구원은 "외환시장 변동성이 줄면서 캐리 트레이드 유인은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분위기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각 국 중앙은행이 완화적 정책을 시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지난 10일 (현지시간)미국의 통화정책이 "현재 아주 좋은 위치에 있다"며 기준금리 변동에 서두르지 않는다는 연준의 방침을 재차 강조했다.
엔을 빌려 원화 표시자산에 투자하는 투자 매력도 점증하고 있다. 최근 엔저, 한·일 간 금리 차 등으로 일본 내 투자자들이 원화 채권투자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수익 기회는 더 확대될 가능성이 커진 것.
그렇다면 와타나베 부인이 바다를 건널 것인가. 경험적으로 엔 캐리 트레이드 자금이 어느 시기에 얼마나 유입되는지 쉽게 판단하기 어렵다. 다만 엔 캐리가 활발한 시기에 높은 수익을 좇아 차익거래에 참여하는 일본 투자자(일명 와타나베 부인)들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게 증권가의 분석이다.
또 엔 캐리 트레이드의 지역별 투자 강도를 감안할 때 캐리 트레이드 자금이 선진국 중에서는 미국을 중심으로, 신흥국 중에서는 최근 높은 수익을 내는 터키 리라화를 비롯해 인도 루피화, 인도네시아 루피아화, 멕시코 페소화, 러시아 루블화, 루마니아의 레우화 등으로 향할 가능성이 있다.
시장에서는 중국, 한국 등으로도 선별적인 유입을 예상한다.
그렇다면 와타나베 부인은 언제쯤 우리 증시에 본격적으로 발을 내디딜까.
시장 한 관계자는 "한국은행에 대한 기준금리 압박이 커진 상황에서 급격한 자금 유입은 기대하기 힘들다"면서 "제한적인 범위내에서 자금이 움직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실제 최근 일본계 자금의 움직임은 느리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1월 기준 일본계 자금이 보유한 상장주식은 13조5650억원으로 지난해 말 보다 5.6% 증가하는데 그쳤다,
◆ 엔 캐리 확산되면 수출엔 부정적
그러나 캐리자금의 유입은 유동성 공급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지만 경험적으로 단기 핫머니가 유입될 경우 국내 금융시장의 변동성은 커질 공산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엔 캐리트레이드 확산으로 뒷따르는 '엔저'는 한국 경제에 반가운 일은 아니다. 해외에서 일본 제품과 경합하는 품목들이 많아 한국 기업은 수출이 줄어드는 등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한국과 일본은 겹치는 수출 품목이 10개 중 6개일 정도(수출 경합도 58.8%)로 세계 시장에서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에 따르면 원·엔 환율 1% 하락시 일본과 수출 경합도가 높은 우리나라 제품의 수출은 0.7~1% 감소한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일본의 장기침체기 특성과 정책대응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서 "일본의 사업재편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된다면 대(對) 일본 경합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주력산업이 심각한 타격을 입고 경쟁력 격차가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꼭 부정적인 것 만은 아니다. 일본에서 부품·소재 기계류 등을 수입해야 하는 기업들은 채산성이 좋아질 수 있다. 또 저금리를 노려 엔화로 대출을 받은 기업이나 개인은 이자 부담이 줄어든다
소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익명의 한 애널리스트는 "국내 부동산과 자본시장으로 머니무브가 생겨나고, 부동산 등 자산가격이 올라 소비자의 가처분소득이 늘어날 수 있어 소비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