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IT·가전 산업에서 뚜렷한 성장을 보이는 가운데, 일본은 반대로 급격한 감소를 보이며 대비를 나타냈다.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는 9일 '2018년 중국·일본의 주요 품목 생산 동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중국은 가파른 성장세를 나타냈다. 지난해 컬러TV 생산 대수가 2억대 가까이 올라서면서 15.6% 성장률을 보였다. 중저가 제품뿐 아니라 프리미엄 TV 생산도 대폭 확대한데 따른 결과다.
냉장고도 7900만대, 에어컨도 2억1000만대로 각각 전년비 2.5%, 10% 증가했다. 미국 세이프가드 영향으로 세탁기만 0.4% 소폭 하락했을 뿐이다.
리튬이온 전지 생산대수도 139억9000만대로 12.9%라는 높은 성장률을 이어갔다. 애플 생산 감소로 휴대전화가 4.1% 줄었지만, 여전히 대수로는 18억대였다.
반면 일본은 지난해 컬러TV를 40만대밖에 생산하지 못했다. TV 생산라인을 해외로 이전한데 따른 영향이라도 소니와 샤프 등 브랜드 가치를 감안하면 턱없이 부족한 수치다.
휴대전화 생산량은 무려 27.8%나 쪼그라들어 455만대 생산에 멈춰섰다. 액정표시장치(LCD) 역시 19.7%나 주저앉아 3억3000만개밖에 찍어내지 못했다.
반도체 관련 산업에서도 일본은 약세를 숨기지 못했다. 집적회로가 8.6%나 줄었고, 전자회로기판(PCB)가 1%, 반도체 소자 0.7% 등 밀려나는 모습을 보였다.
일각에서는 일본의 쇠락을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일본 반도체 기업들이 1980년대에 미국을 밀어내는데 성공했지만, 1990년대에 들어서는 고비용·고품질 전략으로 한국에 밀렸다는 것. 최근 대한민국이 초격차로 메모리 반도체 시장을 주도하고 있지만 마냥 안심할 수는 없다는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