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모델이 U+MVNO 파트너스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있다. / LG유플러스
알뜰폰(MVNO) 시장이 침체 위기를 겪는 가운데 기존 이동통신사업자(MVO)는 5G 중심 프리미엄 요금제 위주로, 알뜰폰 사업자는 롱텀에볼루션(LTE) 기반의 저가 요금제를 경쟁력으로 내세운 전략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LG유플러스가 'U+MVNO 파트너스'를 출범하며 중소 알뜰폰 사업자 지원에 나섰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번 상생 방안이 CJ헬로의 알뜰폰 사업 부문 인수·합병(M&A)에 대한 공정위원회 전원회의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심사를 앞두고 시정조치가 부과되는 것을 막기 위한 '쇼잉(보여주기)'이란 지적도 나왔다. 망 도매대가 인하 등 실질적 지원책이 빠져 알맹이가 없다는 목소리도 있다.
◆LG유플, 중소 알뜰폰업계 위해 단말 수급·유심 판매·홈페이지 지원
LG유플러스는 24일 중소 알뜰폰의 지속적인 사업 성장과 경쟁력 제고를 위한 공동 브랜드·파트너십 프로그램 'U+MVNO 파트너스'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 박준동 신채널영업그룹장 상무는 "MVNO 사업을 4~5년 진행하면서 알뜰폰 사업자들이 어려움을 토로하는 부분이 있었다"며 "사업자들과 컨센서스를 이뤄 충분한 의견을 나눴다. 같이 상생할 수 있는 단초를 만드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알뜰폰 가입자는 4월 810만2482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7월말 기준 806만6747명을 기록하며 내리막길 추세를 보이고 있다.
U+MVNO 파트너스에 참여하는 사업자는 현재 LG유플러스의 이동통신망을 임대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MVNO 12개사다. 인스코비, 와이엘랜드, 큰사람, 아이즈비전, 머천드코리아 등이 포함됐다. 골자는 ▲영업활동 ▲인프라 ▲공동마케팅 등을 지원하는 세 가지 협업 활동이다. 향후 사업자와의 협의를 통해 알뜰폰 5G 요금제도 준비한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LG유플러스는 휴대폰 제조사인 LG전자, 삼성전자를 포함해 중고폰 유통업체들과 직접 협상을 통해 신규 출시 스마트폰과 중고 인기모델 수급 지원에 나선다. 또 내달까지 기존 GS25와 이마트24에 설치한 유심카드 전용 판매대를 LG유플러스 전국 2200여개 직영점 및 대리점에 구축한다. 서울·수도권 일부 매장에만 투입된 알뜰폰 선불 유심카드 판매 전담 직원도 내년 1월까지 전국 매장으로 확대 배치한다. 아울러 내년 2월부터 온라인 홈페이지에서 직접 신규가입, 기기변경, 번호이동을 신청할 수 있는 '셀프 개통 서비스'를 지원키로 했다. 알뜰폰 멤버십도 확대한다.
LG유플러스 김시영 MVNO 해외서비스 담당은 "지금까지 사업자 개별적으로 비용을 투입한 부분 지원을 통해 간접적인 도매대가 인하 효과를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CJ헬로모바일 인수 앞두고 상생안…업계 "진정성 없다"
문제는 실제 알뜰폰 사업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망 도매대가 인하 등 '알맹이'가 담기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이번 LG유플러스의 알뜰폰 상생방안에 대해 진정성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KT 관계자는 "LG유플러스가 CJ헬로 인수를 앞둔 시점에서 MVNO 상생방안을 발표한 것은 인수 심사에서 CJ헬로 알뜰폰 사업의 분리매각 등 인가조건이나 시정조치가 부과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LG유플러스의 자회사인 미디어로그를 제외하면 LG유플러스 망을 사용하는 중소 알뜰폰 사업자 가입자 수는 전체 알뜰폰 시장 가입자 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에 불과해 영향력이 미미할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이동통신 업계 관계자는 "향후 CJ헬로모바일 인수 이후 기존 SKT·KT망 이용자를 LG유플러스 망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고려하면 LG유플러스 도매가입자의 자회사 비중은 70%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며 "오히려 이번 상생방안에 참여한 알뜰폰 12개 업체들은 정부 심사를 앞둔 LG유플러스의 전략적 쇼잉에 동원된 들러리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알뜰폰 업계 관계자는 "KB국민은행과 미디어로그의 알뜰폰 사업 확장 때문에 상대적으로 위축된 중소 알뜰폰 사업자들에 대한 달래기 용도로 이번 방안을 마련한 것이 아니냐"며 "알뜰폰 지원에 대한 의지는 환영하지만 망 도매대가 인하 등 좀 더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다면 SK텔레콤이나 KT도 따라갈 수 있었을텐데 아쉽다"고 말했다.
한편, 향후 이동통신 사업자는 5G 위주의 프리미엄 요금제에 집중하고 저가의 LTE 요금제는 알뜰폰 사업자가 주축으로 하는 투트랙 구조로 시장이 재편될 것으로 전망된다. LG유플러스가 알뜰폰 5G 요금제를 준비하고 있지만, 적자에 허덕이는 중소 사업자가 비싼 망 도매제공 단가를 감당할 수 있을지가 의문이기 때문이다. 신규 5G 단말 종류도 적다는 점도 문제다.
LG유플러스 박준동 상무는 "MNO는 프리미엄 요금제로 가는 것이 당연하고, MVNO 사업자와는 협력해 LTE에 주력할 것"이라며 "MVNO 사업자와 지속 성장을 도모하는 길을 같이 찾아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