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델이 T맵 API 서비스 확대·개편 소식을 알리고 있다. / SK텔레콤
SK텔레콤은 많은 기업들이 물류 및 배송 업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T맵 API 서비스를 확대·개편한다고 29일 밝혔다. API란, 특정 프로그램 일부 기능이나 소프트웨어를 다른 소프트웨어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다.
이번 확대·개편으로 T맵에 '다중 경유지' 기능 개선, 이미지 경로 API 신설, 여러 대의 배송 차량에 다수의 배송지를 최적으로 배차하는 솔루션(TMS) API 기능 고도화 등이 추가됐다.
이번에 개편된 '다중 경유지' 기능은 경유지 수를 기존 30개에서 100개로 확대해 택배 및 운송 업체들의 배송 효율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새로운 지도 엔진을 적용해 지도의 로딩 및 이동 속도도 개선했다.
'이미지 경로' API는 경로가 표출된 지도 이미지를 자동 캡처해 화면에 보여주는 기능으로, 운전자의 가시성을 높여 운전자가 전체 경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SK텔레콤은 물류 · 배송 기업에서 사용하는 차량 배차 솔루션인 'TMS API'도 고도화했다. 차량 10대, 배송지 100곳 계산 시 기존 3분이 소요되던 알고리즘을 1분 내로 단축했다. 연말까지 배송지 별 도착요구 시간 지정 기능, 기사 배송 숙련도 및 사용 차량 수 지정 옵션 등을 추가할 계획이다.
T맵의 TMS 엔진에 사용되는 로직은 한국항공대학교와 공동 산학연구를 통해 개발됐으며, 최신 '인공지능 해찾기' 기법을 활용해 한국 물류 상황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번에 출시한 화물차 전용 내비게이션 '파토스트럭'은 SK텔레콤이 제공한 '화물차 경로 API'를 활용한 서비스다. 기존 내비게이션 대비 화물차의 중량, 높이, 통행시간을 고려해 개발됐다. 또 SL솔루션이 출시한 '화물GO'는 스마트폰 기반 관제 및 배차 서비스로, 배송 기사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화물차 관제와 배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지난 2017년 T맵과 IoT 서비스 등 자사의 기반 기술을 한 곳에 모은 'SK텔레콤 API 포털'을 오픈한 이래, T맵 API 기반으로 개발자 및 중소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서비스를 출시하고 있다. 4500여개의 프로젝트가 등록돼 진행 중이다.
한편, SK텔레콤은 지난 25일 SKT타워에서 물류 · 배송 분야 기업 관계자 및 T맵 API 고객사 관계자 200여명을 대상으로 '2019 T맵 고객 세미나'를 개최, T맵 실시간 교통정보, 다중 경로 안내, 경로 최적화 등 API 서비스와 새로운 서비스를 소개하기도 했다.
SK텔레콤 장유성 모빌리티 사업단장은 "5G 초시대를 맞아 T맵 API는 이미 우리나라 물류 및 배송 산업의 효율을 높이는 대표 솔루션으로 자리 잡았다"며 "SK텔레콤은 중소기업을 포함한 여러 관계자와 협업해 솔루션을 개발하고, 사회적 가치 창출에 도움이 되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