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부산, 내년부터 신기재 'A321neo LR' 도입 계획…2020년·2021년 각 2대 예정
-한태근 에어부산 대표이사 "인천 노선 진출이 지금 어려움에 돌파구 될 것으로 기대"
30일 서울 중구 소공동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인천취항기념 기자 간담회에서 한태근 에어부산 대표이사가 인천 노선 진출 계획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김수지 기자
에어부산이 인천 노선 진출의 의미에 대해 풀어내는 시간을 가졌다.
30일 에어부산은 서울 중구 소공동에 위치한 더플라자호텔에서 인천취항기념 간담회를 열고 인천발 노선 취항의 의미를 밝혔다.
이날 한태근 에어부산 대표는 자사의 창립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많은 노력이 있었다며 소개했다. 그는 "지난 2007년 부산국제항공으로서 에어부산이 창립한 이후 2009년부터 서비스·안전 등 부문에서 좋은 결과들을 만들어 냈다"며 "2014년에는 고용창출 100대 우수기업으로 선정돼 부산 고용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어 "2018년에도 국토교통부가 진행한 '2016-2017 항공교통서비스 평가'에서 좋은 성적을 얻은 바 있다"고 밝혔다.
한태근 대표는 이날 11월 중으로 신규 취항할 예정인 5개 노선과 함께, 신기재인 'A321네오 LR'의 도입으로 기대되는 효과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먼저 내달 12일에는 중국 닝보, 13일에는 중국 선전과 필리핀 세부, 대만 가오슝 노선을 신규 취항할 계획이고 중국 청두 노선은 11월 말부터 운항에 나설 것이라고 전했다.
특히 그는 "닝보 노선의 경우 선박 화물 총 물동량 기준 세계 1위의 항만도시로 출장 수요가 기대되며 이번 취항을 통해 국적항공사 유일의 노선이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신기재 도입으로 중거리 단독 노선 개척의 효과도 기대된다. 중·장거리 노선 운항을 통해 항공기 가동률도 증대될 것"이라며 "신기재인 A321네오 LR은 232석으로서 경쟁사에서 도입 예정인 737MAX8 기종이 189석인 사실에 비해, 운항 효율성이 32% 향상될 것으로 보고있다. 기존 에어부산의 항공기와 비교해서도 최대 이륙 중량이 7600㎏ 증가하고 연료가 15% 절감되며 최대 운항 거리가 833㎞ 늘어나는 등 수익성이 제고될 것"이라고 신기재 도입에 따른 기대감을 나타냈다.
이날 한태근 대표이사는 발표 뒤 이어진 질의응답에서 최근 불황을 겪고 있는 항공업계 전반에 대해 긍정적 전망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는 "항공업계가 올 4분기에도 어렵긴 하겠지만 완만하게 상승 곡선을 그리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에어부산도 상반기 영업손실이 많이 난 만큼 내부적으로 경비 절감을 위해 노력하고 있고 적자가 나는 노선도 많이 감축했다. 이번 인천 노선 진출이 하나의 돌파구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금 항공업계 전체가 어려운데 일본 노선이 풀리고 중국 문제가 해결돼야 상황이 좀 나아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