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5G 가입자 증가 등의 영향으로 무선 매출이 8분기 만에 반등했다. 그러나 5G 이동통신 망 투자와 출혈 마케팅 경쟁 등으로 비용이 늘어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줄어들었다. 5G가 이동통신 시장의 활기를 되찾아줬지만, 초기 구축 비용 등이 실적에 악영향을 끼치는 '양날의 검'으로 작용한 셈이다.
10월 31일 이동통신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연결 재무제표 기준으로 올 3·4분기에 영업이익 3021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0.7% 감소했다고 공시했다. 올 3·4분기 매출은 4조5612억원, 순이익은 2744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9% 증가, 73.9% 감소했다.
SK텔레콤의 이동통신 매출은 5G 가입자 확대로 2조4864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0.1%, 전분기 대비 2.1% 증가했다. SK텔레콤 5G 가입자는 9월말 기준 154만명을 넘어섰다. 가입자 당 평균수익(ARPU)는 3만1166원으로 전 분기보다 1.3% 증가했다. 5G 가입자가 늘어나며 고가 요금제 가입자 또한 늘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날 컨퍼런스 콜에서 윤풍영 SK텔레콤 코퍼레이트센터장은 "4·4분기에는 전년 대비 기준으로도 ARPU 턴어라운드를 예상한다"며 "내년에도 ARPU 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5G 상용화는 마케팅 비용과 설비투자(CAPEX) 증가도 이끌어 영업이익에도 영향을 끼쳤다. SK텔레콤은 올 3·4분기 설비투자로 6610억원을 집행했다. 지난해와 비교해 64.4% 늘어난 규모다. 5G 가입자 모집이 과열 양상을 보이며, 마케팅비도 7878억원을 투입해 전체 비중의 27.1%에 달한다. SK텔레콤 측은 현재 44% 이상의 5G 마켓 비중을 확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윤풍영 SK텔레콤 코퍼레이트센터장은 "올해 5G 가입자는 200만명을 상회하고 내년에는 700만명 수준을 예상하고 있다"며 "향후에는 마케팅 비용 경쟁 보다 차별화된 5G 서비스 경쟁으로 패러다임 변환을 주도하겠다"고 말했다. 내년 설비투자는 5G 관련 클러스트 중심으로 전략적인 집행을 하겠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향후 비 통신 사업에 집중하겠다는 전략이다. 미디어 사업 중 인터넷멀티미디어TV(IPTV) 매출은 3337억원으로 전년 대비 14%, 전분기 대비 3.6% 상승했다. SK텔레콤은 '옥수수'와 방송3사의 '푹'을 통합해 지난 9월 새 OTT 서비스 '웨이브'를 출범했으며, 2023년까지 유료가입자 500만명을 확보하고 글로벌 시장에 단계적으로 진출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또 SK브로드밴드와 티브로드의 합병을 추진하며 정부 인허가 절차를 밟고 있다.
윤풍영 센터장은 "웨이브는 10월 말 기준 유료 가입자 140만명 수준을 확보했으며 2023년 목표했던 500만 가입자 달성을 위해 순항하고 있다"고 말했다. 티브로드 합병법인은 내년 1·4분기 내 완료될 것으로 내다봤다.
최근 카카오와 3000억원 규모의 지분을 교환하고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것에 대해서는 "카카오의 지식재산권 자산을 SKT의 유료플랫폼과 연계해 향후 시너지를 증진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며 "웨이브 강화와 K 콘텐츠를 위해 다양한 방송사, 제작사, 기획사와 함께 하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