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SKT, 5G·AI로 1200년 전 신라시대 '성덕대왕신종' 복원

SK텔레콤이 '2019 한 · 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서 선보인 5G·AI 기반 미디어아트 '선향정(善響亭)'의 모습./ SK텔레콤



신라 시절의 성덕대왕신종(일명 에밀레종)이 첨단 기술로 복원됐다.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행사장에서다.

SK텔레콤은 '2019 한 · 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열린 25~26일 양일간 5G·AI 기반 미디어아트 '선향정'(善響亭)이 한국 ICT와 전통문화의 우수성을 동시에 알리는 상징물로 각국 대표단의 호평을 받았다고 26일 밝혔다.

'바른 울림이 있는 곳'이라는 뜻의 '선향정'은 아세안 국가의 평화와 번영을 상징하는 성덕대왕신종 모형 구조물과 한국 전통 수묵산수화를 담은 3면의 특수 스크린으로 구성됐다.

SK텔레콤은 첨단 기술을 활용해 1200년의 시간과 경주-부산 간의 공간을 넘어 천년 왕조 신라 시절의 성덕대왕신종을 행사장에 복원했다.

'선향정'은 성덕대왕신종의 타종 소리로 각국 정상과 대표단을 환영했다. 범종에는 정상이 입장할 때마다 각국 국기가 형상화되고, 특수 스크린에는 한국의 사계를 표현한 초고화질(12K) 수묵화가 살아있는 듯 움직였다.

성덕대왕신종은 2003년에 문화재 보호차원에서 타종이 중지됐다. SK텔레콤은 이번 행사를 위해 성덕대왕신종의 마지막 타종 소리 음원을 AI기반 미디어품질 개선 기술 '5GX슈퍼노바'를 통해 잡음 없는 고음질(FLAC) 음원으로 16년 만에 복원했다.

SK텔레콤은 성덕대왕신종이 선조들의 예술성이 돋보일 뿐만 아니라 애민정신을 상징하기에 한 · 아세안 정상회의의 시작과 환영을 의미하는 대표 상징물로 기획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한·아세안 환영 만찬 행사에서는 SK텔레콤과 과기정통부가 한류스타 현아와 디지털 캐릭터로 꾸민 5G 초현실 공연인 '5GX K팝 퍼포먼스'를 특별 무대로 선보이기도 했다.

현아와 동작인식 센서를 장착한 댄서의 퍼포먼스는 디지털 캐릭터의 춤 동작으로 실시간 복제돼 행사장에 설치된 350인치 대형 스크린에 옮겨졌다.

초현실 공연 과정에서 SK텔레콤 모션 센싱 기술이 댄서의 미세한 움직임 하나 하나를 수집하고, 5G가 방대한 데이터를 찰나의 지연 없이 미디어 서버로 전달했다. 혼합현실(MR) 기술은 현실 공연에 미래 도시를 배경으로 하는 가상 세계를 입혔다.

부산 벡스코에서는 SKT 5G가 탑재된 미래형 무인차 'HR셰르파'가 행사장주변을 순회했다. HR-셰르파는 원격주행, 자율주행 등 무인체계 기술력이 집약된 차량으로, 경차 정도의 작은 크기에 6륜 전기구동 체계를 갖췄다. SK텔레콤은 'HR-셰르파'에 5G네트워크를 연결하고, 차량 중앙 및 전후좌우의 카메라 총 6대가 촬영하는 벡스코 외부 360도 영상을 상황실로 실시간 전송했다.

SK텔레콤 윤용철 커뮤니케이션센터장은 "한 · 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한국의 5G, 인공지능, 미디어 기술 우수성을 해외 정상과 대표단에게 소개하는 최고의 쇼케이스가 됐다"며 "앞으로도 모두가 쉽게 공감할 수 있는 5G · AI 기반 실감형 콘텐츠를 지속 선보여 한국 ICT 위상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