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상적인 화면을 이용한 전체구성이 완숙의 경지에 올라선 김환기의 파리 시대(1956~1959)는 화면 자체가 점차적으로 통일을 지향하면서 정신적인 심화의 단계를 밟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시기로 꼽힌다. 이후 서울 시대(1959~1963)를 거쳐 70년대 뉴욕 시대로 이어지며 김환기의 작품은 변화를 거듭한다. 단일 주제의 배열이나 단독적 요소로서의 형상과 서술적 경향이 점차 사라지고 대신 국부적인 요소가 전체 속에 동등하게 위치한다.
이 가운데 1973년 작 '10만개의 점'과 같은 작품을 통해 확인되듯, 축소와 거시적 우주관이 동시에 드러나는 뉴욕 시대는 색과 점, 공간 속 유동하는 초자연적인 세계를 뒷받침하는 순수한 조형성이 강조되면서 김환기 예술의 완성기를 보여준다.
70년대의 김환기 작품들은 예술성과 역사성이 더해져 가격도 상당하다. 실제로 지난해 5월 그의 붉은색 전면점화인 '3-II-72 #220'(1972)는 85억원에 팔렸으며, 올해 초 새 주인을 찾은 '무제'(1971) 역시 72억원에 거래됐다. 특히 지난 23일 김환기의 대작 '우주'(Universe 5-IV-71 #200)(1971)는 홍콩컨벤션전시센터(HKCEC)에서 열린 크리스티 홍콩 경매에서 약 131억원에 낙찰되었다. 모두 김환기 미학의 정점으로 평가되는 시기의 작품이다.
하지만 세상의 모든 작품 가격이 예술성 및 역사성과 비례하는 건 아니다. 예를 들어 (사)한국미술시가감정협회가 2015년 1월부터 2019년 8월까지 국내 미술품경매사 10여 곳에서 이뤄진 경매결과를 취합한 자료에 따르면 고(故) 백남준의 작품은 이우환의 작품 가격과 비교해 상당히 낮다.
분야가 다르고 매체 환경의 영향은 존재하나, 아직 미학적 평가가 덜 끝난 생존 작가인 이우환의 최근 5년간 최고가 작품은 16억6100만원('바람과 함께'(1990))인 반면, 미술사에 한 획을 그은 백남준의 작품 중 최고가는 '바람과 함께'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6억6000만원('수사슴'(1996))에 그친다.
이런 현상은 서구에선 흔하다. 워낙 가격이 높기로 유명한 피카소만 해도 '전쟁과 평화' 등의 일부를 제외하곤 50년대에 이렇다 할 대표작이 나오지 않았지만 작품가격은 1955년에 그린 '알제의 여인들'이 으뜸이다.
이 작품은 2015년 뉴욕 크리스티 경매에서 1968억원을 기록했다. 큐비즘 시대를 연 '아비뇽의 아가씨들'(1907)을 포함해 '파이프를 든 소년'(1905), '꿈'(1932), '게르니카'(1937), '우는 여인'(1937)과 같은 이전 시대 작품들과 비교해 전위성이 위축된, 옛것을 재탕하던 시기에 만들어진 것임에도 그림 가격은 정반대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는 셈이다.
사실 예술의 가치와 시장의 가치는 다르다. 예술의 가치를 결정하는 요소는 미술사적 선구성, 작품성, 시대성 및 역사성, 해당 문화권 특유의 에토스와 같은 의식적 맥락 등이 맞물려 형성된다. 시장의 가치는 여기에 사회적 역학관계, 수익률, 소장이력까지 포괄하여 산출된다. 작가 인지도, 대중선호도, 투자환경 등도 간과할 수 없는 비중을 지니며, 결정적으로 구입자의 '취향'을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가장 비싼 작품이 반드시 좋은 작품은 아니다. 잘 팔리는 작가가 훌륭한 작가도 아니다. 김환기나 박수근처럼 예술의 가치가 가격에 반영되는 예도 있으나, 그렇지 못한 사례가 훨씬 많다. 더구나 우린 아직 사회적 의사표시로서의 미술의 경제성이 곧 미술품의 가격이란 점은 헤아리지 않는다.
■ 홍경한(미술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