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는 3일 당권파의 '보이콧(항의)'과 비당권파의 집단 탈당으로 최고위원이 전원 불참한 가운데 '나홀로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바른미래 최고위원회의에는 주승용·김관영 최고위원이 불참했다. 이들은 전날 당 혁신을 위한 손 대표 사퇴를 요구하며 손 대표가 진행하는 공개 일정에 참석하지 않기로 했다.
임재훈 사무총장이 회의에 참석했으나, 지역구 일정을 이유로 곧바로 이석했다. 결국 이날 회의에는 손 대표와 장진영 비서실장, 이행자 사무부총장, 강신업 대변인 등만 참석했다.
바른미래 당헌·당규에 따르면 최고위원회의는 매주 1회 이상 소집을 원칙으로 한다. 당 대표가 필요다고 인정하거나 재적위원 3분의 1 이상의 요구가 있을 때 당 대표가 소집·주재할 수 있다.
이날 손 대표는 문재인 대통령의 신년사와 관련 "문 대통령은 권력기관 개혁과 공정사회 개혁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지만, 시장과 기업의 활력을 되찾아 줄 방안에 대해선 전혀 언급이 없었다"며 "문 대통령이 취임 이후 3년 연속 대한상공회의소가 주최하는 재계 신년 인사회에 참석하지 않은 것에 대한 비판도 제기된다"고 말했다.
전날 검찰이 '패스트 트랙 충돌' 사태와 관련 총 37명을 불구속 기소한 것과 관련해선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을 겨냥해 "거대 양당은 또 네 탓 공방만 계속하고 있다"며 "다음 주에는 검찰-경찰 수사권 조정으로 다시 여야가 충돌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어 "정부와 정치권이 새해부터 전과 똑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어 답답한 마음을 금할 수 없다"고 한탄했다.
한편 그동안 단일대오를 형성했던 당권파의 반발은 손 대표가 대표직을 내려 놓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시작됐다는 게 정치권 분석이다.
손 대표는 앞서 지난달 18일 "안철수 전 대표가 돌아오면, 그에게 전권을 주고 물러날 용의가 있다"고 말한 바 있다.
하지만 지난 2일 바른미래 21대 국회의원 총선거 출마자 아카데미 참석차 방문한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취재진과 만나 대표직 사퇴와 관련해 돌연 "왜 대표직을 내려놓는다는 얘길 계속하느냐"며 "내가 대표직을 내려놓겠다는 얘기를 내 입으로 한 일이 없다"고 번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