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홍콩 등 단거리 못 가…韓 여행객, 대신 '베트남' 간다
-韓 항공사에…뱀부항공·비엣젯 등 베트남 항공사까지 가세
대표적 단거리 노선이었던 일본·홍콩에 수요가 줄면서 '베트남'이 새로운 관광지로 각광받는 모습이다.
최근 일본과 홍콩 등 기존 인기 노선이었던 지역에 여행 보이콧·시위 장기화 등이 잇따르면서 또 다른 단거리 노선인 '베트남'이 여행객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 이에 따라 국적 항공사뿐 아니라 베트남 국적의 항공사들도 신규 취항하며 한국 여행객 수요를 적극 공략하고 나섰다.
반면 베트남으로 향하는 한국인 대비 방한하는 베트남 관광객의 규모가 작아 인바운드 시장을 개발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을 비롯해 에어부산·에어서울 등 최근 베트남 지역에 신규 취항하는 국적 항공사들이 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달 16일부터 인천국제공항에서 출발해 베트남 나트랑으로 가는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이는 호찌민과 하노이, 다낭, 푸꾸옥에 이은 아시아나항공의 5번째 베트남 노선이다.
에어부산도 지난 26일부터 부산-나트랑 노선의 부정기편 운항에 나섰으며 국적 LCC인 에어서울도 지난달 16일 하노이, 18일 나트랑에 취항하며 다낭을 포함해 베트남 노선 3개를 운항 중이다.
에어서울 관계자는 최근 베트남 노선 신규 취항 배경에 대해 "우선 수요가 있어서다. 줄였던 일본 노선의 기재를 베트남 노선으로 돌렸다. 다낭에 한국 사람들이 많이 간다"며 "요즘에 베트남을 워낙 한국 사람들이 많이 여행하기도 하고 특히 나트랑의 경우 '제2의 다낭'으로 몇 년 전부터 뜨고 있는 도시라 취항을 하게 됐다. 베트남 수요가 요즘 많이 늘고 있는데 공급이 늘면서 수요가 따라오는 것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일본 노선에 투입했던 기자재들이 여유가 생겨 동남아 쪽으로 노선 다각화 차원에서도 돌린 것이다"고 설명했다.
최근 베트남을 찾는 한국 여행객들이 늘면서 이를 공략하고자 하는 베트남 국적의 항공사들도 한국 시장에 신규 취항하고 나섰다. 베트남 국적의 뱀부항공은 지난해 10월 17일 인천-다낭 노선을 대상으로 첫 정기 국제 노선에 신규 취항했다.
이어 11월에는 인천-나트랑 노선 운항에 나섰으며 올해 상반기 중에는 ▲인천-하노이 ▲인천-호치민 노선에 취항할 계획이다. 또 다른 베트남 국적 항공사인 비엣젯도 오는 15일 인천-달랏 노선, 16일 인천-껀터 노선에 신규 취항한다.
한편 베트남을 방문하는 한국 여행객 대비 방한하는 베트남 관광객이 적어 인바운드 수요를 늘려야 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실제로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베트남으로 출국한 한국인(33만 9560명) 대비 방한한 베트남인은 4만3617명으로 규모가 약 7.8배가량 차이난다. 또한 최근 들어 일본과 홍콩 등 근거리 노선에 연일 이슈가 터지면서 수요가 줄자 그 대체 노선으로 베트남이 각광받고 있어 한국인의 베트남행은 더 늘고 있다. 지난해 7월부터 9월까지 전년 동기 대비 베트남 출국자 수는 각각 ▲7월 27.4% ▲8월 25% ▲9월 49.4%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