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수일가, 지분 합치면 '24.79%'지만…한진家는 지금 '경영권 분쟁 中'
-반도건설, 지분 8~9% "더 살 수도"…'캐스팅 보트' 역할할까
2개월 여 앞으로 다가온 한진칼의 주주총회에서 누가 '캐스팅보트' 역할을 하게 될지 관심이 모아진다.
오는 3월 한진그룹의 지주사인 한진칼은 주주총회를 개최한다. 이에 따라 최근 한진가 안팎으로는 주주총회에 대비하기 위한 움직임들이 포착되고 있다. 총수일가 사이에서는 경영권을 두고 '남매의 난'을 넘어 '모자의 난'까지 불거졌으며 단일 주주들은 지분 늘리기에 주력하는 모양새다.
이번 주주총회에서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의 재선임 안건이 표결에 부쳐지는 만큼 경영권 분쟁의 '캐스팅보트'는 누가 쥐게 될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현재 한진칼의 전체 지분 가운데 총수일가를 제외한 단일 주주 중 최대 주주는 KCGI(강성부펀드)다. KCGI는 지난달 23일 기존 15.98%에서 17.29%로 지분을 늘렸다고 공시했다. 이어 대한항공과 JV(조인트벤처)를 맺은 델타항공이 10%를 보유하고 있고 ▲반도건설 6.28% ▲국민연금 4.11% 등이다.
총수일가는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이 6.52%, 이명희 정석기업 고문이 5.31%,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과 조현민 한진칼 전무가 각각 6.49%, 6.47%의 지분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총수일가 전체의 지분을 합하면 24.79%로 KCGI보다 월등히 많아 경영권 방어가 가능하다.
하지만 앞서 지난달 23일 조현아 전 부사장은 법무법인 원을 통해 "조원태 대표이사가 공동 경영의 유훈과 달리 한진그룹을 운영해 왔고 지금도 가족 간의 협의에 무성의와 지연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조 회장을 비판한 만큼 한진가의 '봉합'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후 조 회장은 어머니 이 고문의 자택을 찾아가 언쟁을 벌여 '남매의 난'에서 '모자의 난'으로 갈등이 격화되기도 했다. 조 회장의 재선임 안건 방어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는 이유다.
총수일가를 제외하고 3번째로 많은 지분을 가진 반도건설도 최근 지분 늘리기에 나섰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다트에 따르면 반도건설은 지난해 11월 말 기준 한진칼 지분이 6.28%였으나 최근 추가 매입해 8~9%까지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권홍사 반도건설 회장은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앞으로 더 살 수도 있다"고 말해 '캐스팅보트'의 역할을 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현재 단일 주주로서는 최대인 사모펀드 KCGI도 한진칼의 지분을 늘려 대비 태세에 들어갔다. 지난달 23일 KCGI는 한진칼의 지분이 기존 15.98%에서 17.29%로 늘었다고 공시했다. 지난 7일 신민석 KCGI 부대표는 유튜브를 통해 "형식적인 지배구조 개선안만 발표했을 뿐 재무구조 노력은 보이지 않는다"고 밝혀 이번 주주총회에서 조 회장의 재선임 여부는 더 불투명해졌다.
한편 국민연금공단은 지난달 31일 기준 보유한 대한항공 주식 지분이 종전 9.90%에서 11.36%로 늘었다고 지난 7일 공시했다. 국민연금은 현재 한진과 관련된 지분 중 ▲대한항공 11.36% ▲한진 9.62% ▲한진칼 4.11%를 갖고 있다. 국민연금이 대한항공의 지분을 늘림에 따라 이번 주주총회에서 적극적인 주주권을 행사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지만 그럴 가능성은 사실상 적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지금 지분율로 보면 일단 한진칼의 주총은 사내이사 재선임이 일반 결의사안이라서 과반만 넘기면 된다. 그래서 지분 구조를 보면 삼남매와 어머니가 합심을 하면 크게 어려움은 없을 것 같다"면서도 "그런데 그 안에서 만약 불협화음이 있다면 다른 얘기가 될 것이다. 하지만 정말로 그 안에서 갈라설지 안 설지는 알 수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연금의 한진칼 보유지분이 아직은 4%대라서 목소리를 내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만약 영향력을 발휘하려면 지금보다 많은 주식을 추가 매입해야 하는데, 연금 입장에서는 굉장히 부담스러운 일이어서 실현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