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웅래 국회의원 "수소경제 활성화, 미래 먹거리 위해 제일 중요한 과제"
-수소충전소 미비·국제표준 부족·인력 불충분 등 '수소경제' 위해 노력해야…
15일 서울 영등포 국회의사당 국회의원회관 제 2세미나실에서 열린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1주년 기념 세미나에서 문재도 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 회장이 발언하고 있다./사진=김수지 기자
지난 1년간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이 많은 성과를 도출했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재했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15일 서울 영등포 국회의사당 국회의원회관 제 2세미나실에서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1주년 기념' 세미나가 열렸다. 이날 행사는 국회 신재생에너지포럼과 국회 수소경제포럼, 산업통상자원부의 공동 주최로, 이원욱·노웅래 국회의원 및 문재도 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 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지난해 1월부터 추진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은 오는 17일 1주년을 맞는다.
노웅래 국회의원은 개회사에서 "수소경제 활성화는 미래 먹거리를 위해 제일 중요한 과제다. 문재인 대통령도 지난해 수소경제 선도 국가가 되겠다고 천명한 바 있다"며 "실제로 우리나라 수소차의 경우, 작년에 세계 판매량의 60%를 차지했다. 또한 며칠전에는 수소경제육성 관련 법이 통과돼 큰 힘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물론 아직 수소충전소 문제가 있긴 하지만 분명 수소경제에 있어 (한국이) 앞서가고 있다. 다만 아직까지는 후발주자라 노력해야 한다. 정책적·입법적으로 열심히 함께 노력하겠다고 약속한다"고 밝혔다.
이승훈 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 본부장은 "수소경제 추진성과를 세부적으로 보면 수소 전기차의 연간 보급 실적이 세계 최대라고 이야기 할 수 있다. 또한 연료전지발전소도 2018년에 343㎿에서 지난해 464㎿로 지속적인 확대 추세"라면서도 "현재 문제가 되는 게 수소충전소, 즉 인프라 구축이 외국에 비해 부족하다. 2020년에는 수소충전소 인프라 조기 확보, 홍보 통한 수용성 개선, 국제협력 등 3가지가 해야할 일이 아닌가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수소경제에 있어 국제 표준화에 대한 전략적 접근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이홍기 우석대 에너지공학과 교수는 "한국이 수소경제를 추진한 뒤로 작년에 처음 국제 표준을 한 건 제정했다. 그 전에는 한 건도 없었다"며 "앞으로 표준제정은 산업체들이 해줘야 한다. 다만 산업체들이 복잡한 과정을 거쳐서 표준 제정을 할 여력이 없어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 다음에 중요한 게 사람이다. 현재 표준전문가가 거의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