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계획(안).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가 올해부터 5세대(5G) 이동통신 서비스에 대한 통신품질평가를 추진한다. 서울·6대 광역시 등 인구밀집지역을 시작으로 평가 지역과 대상을 단계적으로 늘려나갈 방침이다. 평가 결과는 오는 7월 발표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용자에게 5G 통신상품 선택과 이용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통신사의 5G 망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올해부터 5G 서비스에 대한 통신품질평가를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전기통신사업법에 따라 2007년부터 매년 시행하고 있는 통신서비스 품질평가는 통신사업자의 통신품질 개선을 유도하고, 이용자의 편익을 증진하기 위해 매년 시행되고 있다.
5G 서비스 품질평가는 이용자의 이용이 많은 지역 위주로 평가해 실제 체감하는 품질을 평가하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진행할 예정이다. 다만, 아직까지 5G 전국망 구축이 진행 중인 점을 감안해 서울·6대 광역시 등 인구밀집지역부터 평가를 시작한다.
올 상반기 서울·6대 광역시에서 하반기 주요 85개시 주요 행정동로 평가 지역을 넓히고, 2023년부터는 농어촌을 포함한 전국 행정구역으로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올해는 처음 평가를 실시하는 만큼 상반기에는 서울 및 6대 광역시 100개 이상, 하반기에는 서울 및 6대 광역시를 포함한 85개시 주요 행정동 200개 이상 장소에서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평가 대상은 옥외·실내·유동인구 밀집지역으로 구분해 진행하고, ▲5G 서비스 제공 여부 ▲통신품질 ▲5G에서 LTE로 전환되는 비율인 LTE 전환율에 대해 평가할 계획이다. 특히 이용자가 체감하는 통신품질 평가를 위해 대형건물, 도로 등 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공간을 평가대상에 포함한다.
5G 서비스 통신품질평가 결과는 7월과 11월에 발표할 예정이다. 11월에는 유·무선 인터넷 등 타 서비스 평가 결과도 함께 발표된다.
과기정통부 홍진배 통신정책관은 "이번 5G 서비스 품질평가가 이용자에게 정확한 5G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고, 통신사가 시장에서 보조금 경쟁이 아닌 5G 네트워크 투자 경쟁을 하게 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적극적인 네트워크 투자 유도를 통해 5G 서비스 품질제고에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