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업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악재…中 전 노선 비운항까지
-당일 돌아오는 '퀵턴'…현지 공항서 머무르는 승무원들 '우려'
중국으로 향하는 하늘길이 점차 좁아지고 있는 가운데, 일부 운항을 지속하는 노선에서는 '승무원 안전'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점차 확산되자 우한을 비롯한 중국 전 노선에 대해 비운항이 검토되고 있어 수익성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게다가 아직 운항 중인 일부 중국 노선에 탑승하는 승무원들의 안전도 확보되지 않고 있어 걱정 섞인 목소리가 나온다. 마스크 착용 등과 더불어 '퀵턴'의 운항 방식을 취하지만 여전히 일부 승무원들은 불안을 호소하고 있는 것.
4일 업계에 따르면 국적 항공사들은 연이어 중국 노선에 대한 비운항 확대에 나서고 있다. 일부 저비용 항공사 가운데는 중국 전 노선을 운휴하기로 결정한 곳도 있다. 에어서울은 지난달 28일 ▲인천-장자제 ▲인천-린이 등 노선을 잠정 중단하기로 했다. 이스타항공도 제주-홍콩 노선을 제외한 중국 본토를 오가는 전 노선에 대해 2월 한달 동안 운항을 멈추기로 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운항하던 기존 100개의 중국 본토 노선 중 55개가 잠정 중단됐다.
'하늘길'은 좁아졌지만 여전히 운항 중인 노선에 탑승하는 승무원들의 안전은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현재 아시아나항공의 일부 노선을 제외하고 국적 항공사들 대부분이 중국 전 노선에 대해 '퀵턴' 방식으로 운영 중이다. 아시아나항공은 상하이 노선이 시간상 당일 돌아오는 게 어려워, 일정을 조정해 퀵턴을 검토 중이다. 퀵턴은 당일 목적지에서 바로 돌아오는 비행 방식을 의미하는데, 항공사들은 통상 일정에 따라 현지에서 1박 이상 머무르는 '레이오버'의 근무 형식을 취하기도 한다.
문제는 중국 노선의 운항 방식이 '퀵턴'이라고 해도 체류시간이 최소화될 뿐, 중국 현지에 발을 아예 안 들이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당일 본국으로 돌아오면 될 뿐 현지 공항에 내려 머무는 것은 항공사·목적지(국가) 등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다. 또한 이미 업계에서는 퀵턴일 경우에도, 현지 공항에 내려 머무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항공업계 관계자는 "보통 도시나 노선별로 다른데, 퀵턴이면 안 내리는 경우가 많긴 하다"며 "일부 항공사는 퀵턴 시 내려서 (현지 공항에) 입국해서 바로 돌아온다. 퀵턴이라도 100% 안 내리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허희영 한국항공대 교수는 "원래 현지에서 승무원, 조종사가 하루 머물고 다음날 여객·화물을 실고 돌아온다. 그런데 퀵턴은 가능하면 체류시간을 최소화시켜 당일 돌아오는 것"이라며 "(퀵턴을 하면) 현지 공항에 내린다. 기내 청소·간단한 기본 정비를 해야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대부분 공항에서 대기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우한 교민의 귀국 지원을 위해 대한항공 전세기에 탑승했던 승무원들의 거취도 논란이다. 30명가량의 승무원들이 최대 5일의 휴무를 가진 뒤 일정에 투입되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잠복기간이 2주인 것을 감안하면 짧은 수준이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승무원이 일단 5일 휴무에서 그 이상으로도 연차를 더 붙여서 쓰고 싶으면 더 쉬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