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르포]"전쟁 때도 안 이랬어" 88세 노인도 울리는 우정국 마스크 선착순 판매

경기 김포시 고촌읍 고촌우체국에서 2일 오전11시부터 마스크 400매를 선착순 판매했다. 해당 마스크는 8문 만에 판매가 종료됐다.
2일 전국 읍면 우체국에서 KF94마스크 65만 장을 판매했다.

#.70대 어르신이 얼굴이 빨개진 채 쓰고 있던 모자를 집어던진다. 그는 "아침도 못먹고 새벽부터 줄을 서서 기다렸다. 내 돈 주고 마스크 사겠다는데 왜 안 팔아"라고 소리쳤다. 김 씨(경기 김포시 고촌읍)는 경기 김포시 고촌우체국이 판매한 마스크가 8분만에 매진됐다는 공지에 분노를 표출했다.

 

정부가 2일 전국 우체국, 농협, 하나로마트, 약국 등 공적판매처를 통해 마스크 약 588만장을 공급했다. 그중 65만 장을 대구·청도 지역 89개를 포함해 전국 읍·면 지역 1406곳의 우체국에서 오전 11시에(일부지역 제외) 판매했다. 우체국에서 판매하는 마스크의 가격은 1매당 1000원이며 판매 수량은 1인 5매로 제한됐다.

 

2일 고촌우체국에 마스크를 사기위해 모인 시민들은 새치기를 비롯해 혼란을 막기위해 자체적으로 번호를 정한 뒤 대기했다.
2일 고촌우체국 측에서도 시민들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서 판매시작시각 30분 전부터 번호표를 배부했다.

◆새벽 6시부터 대기…자체적으로 순번표 나눠가져

 

이날 김포 고촌 우체국에서는 400매의 KF94마스크를 판매했다. 80명이 구매할 수 있는 분량이다. 마스크는 오전 11시부터 판매한다고 고지를 했지만 오전 8시 전에 이미 80명이 넘는 사람이 줄을 섰다. 인원이 마감됐다는 소식에도 11시 직전에는 줄이 500m 가까이 늘여서 있었다.

 

새치기를 막고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서 시민들은 자체적으로 손등에 온 순서대로 번호를 적었다. 바닥에는 '오늘 80번입니다. 이 뒤로는 오늘 못사시니다. 귀가 부탁드립니다'라는 글씨가 적힌 박스가 놓여있었다. 급기야 고촌우체국 측에서는 혼란을 막기위해 임시로 번호표를 나눠줬다.

 

경기도 부천에서 온 강지완 씨는 오전 6시부터 주차장에서 대기했다. 그는 "맨 앞에 입장한 사람은 오전 6시 40분부터 기다렸어요. 코로나19로 유급휴가를 받아서 겨우 올 수 있었다"고 말했다. '온라인 구매 방법도 있는 데 왜 먼 곳까지 왔냐'는 질문에 "C사나 W사 등 유명한 온라인 쇼핑몰을 다 뒤졌지만 재고가 없었다. 아이가 걱정돼 새벽에 일어나 부천에서 김포까지 오게됐다"라고 답했다.

 

오전 11시가 되자 직원의 안내에 따라 5명 씩 우체국 안에 들어가 구매를 시작했다. 앞선 직원에서 현금으로 5000원을 지불하고 옆에 있는 직원에서 마스크를 받는 방식으로 거래가 이뤄졌다. 우체국 직원은 시민 한명 한명에게 "오래 기다리셨죠. 많이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라며 사과인사를 건넸다.

 

마스크 구매에 성공한 20세 이 씨(경기 김포시 고촌읍)는 "코로나19로 대학 OT랑 모든 행사도 미뤄지고 개강도 미뤄져서 우울했었어요. 그런데 이 마스크 5장이 뭐라고 기분이 풀렸네요. 이 5장 받으려고 거진 5시간을 기다렸는데 말이죠. 참 이상한 시국이에요"라고 말했다.

 

2일 고촌우체국에서 마스크가 매진되자 일부 시민은 우체국 직원에게 항의의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평화는 잠시…매진 소식에 '아비규환'으로 변신

 

순조롭게 마스크 판매가 이뤄지는 것 같았지만 평화는 오래가지 않았다. 10분도 채 되지 않아 마스크가 매진됐다는 공지에 대기하던 시민들은 분노를 드러냈다. 분함에 취재진과 우체국 직원에게 욕설과 폭력까지 가하는 시민도 등장했다.

 

마스크 구매에 실패한 박 씨(60대. 경기 김포시 고촌읍)는 "지금 이 마스크를 며칠 째 쓰고있는지 몰라. 하루종일 쓰고 밤새 말려서 다시 사용해. 한 장을 일주일씩 쓰는 셈"이라고 털어놨다. 그는 "400장이 무슨 말이야. 우리 아파트만 해도 2000가구가 넘는데. 못해도 만 장은 보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부 시민들은 우체국 직원에게 달려들었고 직원을 동그랗게 둘러싼 뒤 화를 냈다. "화장실도 안가려고 물도 안마셨다" "8시부터 기다렸는데 왜 못사냐" "내일 번호표를 미리 달라"며 항의의 목소리가 끊임없이 들려왔다.

 

우체국 행정은 그야말로 마비됐다. 마스크 업무를 제외하고 나머지 업무는 한 칸 부스에서 진행되고 있었으나 마스크 매진 이후 시민들의 항의가 빗발치자 이마저도 불가능해졌다. 한 시민은 택배 박스를 구매하러 왔다가 업무가 마비된 것을 보고 대기다다가 결국 조용히 박스를 들고 우체국 밖으로 사라졌다.

 

오전 7시 30분부터 대기했다는 송 씨(70대. 경기 김포시 고촌읍)은 "'사람이 먼저다'라고 해놓고 국민은 내팽개 쳐놓은 거 같다. 다른 나라에 마스크를 보낼 때가 아니라 국민들에게 마스크를 무료로 나눠주면 좋겠다. 지금 이렇게 마스크 사려고 줄을 서다가 코로나19에 감염될 판"이라고 하소연했다.

 

그의 일행인 이 씨(70대. 경기 김포시 고촌읍)은 "나라가 지금 적자라고 하니 무료로 안나눠줘도 좋으니 이 가격에 구매라도 할 수 있으면 좋겠다. 겨우 마스크 파는 곳을 찾아도 4~5000원이 기본이다. 돈 없으면 죽으라는 얘기 같다"고 말했다.

 

2일 고촌우체국 앞에는 정부에서 판매하는 KF94마스크를 구매하기위해 시민이 몰렸다.
2일 오전 고촌우체국 근처에 있는 모든 약국에는 마스크가 품절됐다는 안내문이 붙어있었다.

◆읍면에 나눠주는 취지는 어디로

 

읍면 우체국에서 이뤄진 마스크 판매의 취지는 고천 주민을 비롯해 마스크 물량을 공급받기 어려운 비수도권 국민들에게 마스크를 공급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타지역에서 찾아온 시민들도 많았고 마스크가 시급한 노인과 환자, 임산부는 새벽부터 우체국 앞에서 줄을 서는데 어려움을 호소했다.

 

유해수 우체국 김포총괄국장은 "한명한명 집주소를 확인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 하다. 지금도 업무가 마비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날 오후 6시에 정부로부터 우체국에 몇장이 배부될 지에 관해 공지가 내려온다. 물량은 정해져있고, 못받는 분들의 심정은 충분히 이해하지만 우체국 측에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최대한 민원을 들어드리려고 노력하고 물량이 늘어나기만을 바랄뿐"이라고 밝혔다.

 

자신이 뇌종양 환자라고 밝힌 장정아(60·경기 김포시 고촌읍) 씨는 "정부에서 대구 경북에 우선적으로 마스크를 준다지만 실상은 좋지 않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는 "나는 환자여서 일을 안해 이 시간에 나올 수 있다. 사실 우리처럼 이 시간대에 나올 수 있는 사람보다 일하는 사람이 더 시급한 것이 아니냐. 내 동생이 4명이 대구 경북에서 일하고 있는데 모두 면 마스크를 끼고 다닌다. 정작 그들은 사무실에 앉아있다가 퇴근하면 제품을 살 수가 없다"고 털어놨다.

 

이어 "인터넷에서 마스크를 이 금액(1000원)으로 살 수 있게 해줘야한다. 시간대도 오전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시간대에 판매해야한다"고 제안했다.

 

면 마스크를 끼고 지팡이에 몸을 의지하고 있던 권호필(88·경기 김포시 고촌읍)씨는 "다른 김포 우체국에 갔가 허탕치고 왔다. 노인들은 마스크에 관한 정보를 얻는 방법이 TV뉴스뿐이다. 내일은 꽁꽁 싸매고 일찍 나와봐야겠다. 나라에서 한명한명 나워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