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새벽을 여는 사람들] "국민들에게 힘이 되길" 발레하는 화가, 손태선 화백

 

 

발레하는 화가 손태선 작가(사진)의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그림' 초대전이 강남구 삼성로 716 갤러리41에서 오는 26일까지 열린다. / 조효정 기자

[새벽을 여는 사람들] "국민에게 힘이 되길" 발레하는 화가, 손태선 화백

 

강남구 청담동의 한 갤러리. 잔잔한 음악이 흘러나오고 은은한 조명 아래 미술 작품들이 걸려있다. 단발머리의 여성이 환한 미소로 맞이해준다. '발레 화가'로 유명한 손태선 화백이다.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손 작가는 전시마다 타이틀을 유명한 위인들과 엮고 있다. 앞선 전시에는 차이콥스키, 피카소, 셰익스피어 등의 이야기를 담았다. 이번에는 시기가 시기인 만큼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전시를 열고 싶어 링컨의 게티즈버그 연설문을 차용했다.

 

위인과 자신의 전시회를 엮게 된 계기와 관련해 손 작가는 "아무래도 나는 위인이 아닌 무명이 아닌가. 위인과 계속해서 엮다 보면 차츰 위인처럼 훌륭해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시작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초대전이 국민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가길 바라냐는 질문에 손 작가는 "갤러리는 문턱이 높고 들어가기 힘든 곳이라고 생각하는 분이 많다. 아직은 스탠딩 문화도 어색하고, 잘 알아야 한다는 부담감 때문인 거 같다"라며 "하지만, 어려운 내용을 알지 못해도 충분히 즐길 수 있다. 슈퍼에 들어가듯 갤러리에 가벼운 마음으로 들어와, 작품을 보고 위안을 받을 수 있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발레하는 화가

 

손 작가는 발레하는 화가로, 발레 그리는 화가로 이름을 알렸다.

 

그는 "원래 몸이 약해서 운동을 시작했다, 재미있는 운동을 찾다 보니 자연스레 발레에 빠져들었다. 발레는 끝이 없고, 끝을 알 수 없는 운동이자 예술이다. 발레 그림을 그리면서 발레 동작과 발레 의상에 대해 가까이 다가가야겠단 생각이 들었다"라며 발레를 시작하게 된 계기를 밝혔다.

 

이어 "발레와 예술은 비슷하다. 발레는 끝이 없고, 내 작업도 끝이 없다"라며 발레를 담게 된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발레를 그리고 나서부터 그림에 느낌을 많이 담으려는 변화가 생겼다. 전에는 구상에 가까운 그림을 그렸다. 발레를 하고 나서부턴 보는 사람이 음조를 떠올리고 상상할 수 있게, 보는 사람의 공간을 남기는 그림을 그리게 됐다"라고 부연했다.

 

무엇이든 한번 시작하면 평생 꾸준히 한다는 손 작가는 10년째 발레를 하고 있다. 주 2회씩 매달 8번의 레슨에 참여하는데, 손 작가는 단 한 번도 거른 적이 없다고 밝혔다. 이런 발레 사랑에 손 작가는 직접 발레 퍼포먼스를 선보이기도 한다. 그는 "전시에 오신 분에게 더 큰 즐거움을 드리고 싶어서 공연을 시작했다. 전시회에 즐길 수 있는 요소가 더 늘어나길 바란다"고 말했다.

 

손태선 작가(사진)는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그림' 초대전으로 국민이 위로받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조효정 기자

◆감상자의 자유로운 상상을 자극한다

 

손 작가의 그림 속 발레리나의 표정이나 신체적 해석, 무대 조명에 따른 형태는 뚜렷하게 묘사돼 있지 않다. 이에 관해 손 작가는 "태생 자체가 수학 과학처럼 정답이 있는 것보단 느낌과 감각에 더 충실한 편이다. 그림을 더 정확하게 묘사하기보다는 '느낌적인 느낌을 살리는' 그림이 더 많다"고 설명했다.

 

손 작가의 작품을 보면 강렬한 그림도 있고, 그렇지 않은 그림도 있다. 색감도 화려하고 다양하다. 그는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방식이다. 묘사보다는 색감을 통해 내 안의 감정을 표현하고 싶었다"라고 덧붙였다.

 

발레의 역동성 때문일까, 손 작가의 작품을 보면 작품의 시각적인 요소에 음악이 함께 상상된다. 그는 "내 작품을 보면서 딱히 어떤 음악을 떠올리기를 바라지는 않는다. 내 작품은 비유하자면 설명문이나 소설이기보다는 '시'였으면 좋겠다. 보는 사람이 음미할 수 있고, 가져가는 사람은 많이 가져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손 작가의 상상을 자극하는 능력은, '시'간은 작품을 만드는 능력은 어디서 오는 걸까? 손 작가는 스스로 '활자 중독자'라고 고백했다. 윌리엄 서머싯 몸의 '달과 6펜스'를 비롯해 문학작품을 즐겨 읽는 그는 "책을 많이 읽는다고 해서 책의 모든 내용을 기억하고 작품에 접목하지는 못한다. 그러나 그 책을 읽으면서 많은 양을 보고 중요한 것을 뽑아내는 능력을 얻었다. 많은 작업이 있지만, 거기서 내가 하고 싶은, 보여주고 싶은 바를 뽑아내 상징적으로, 효과적으로 보여주려고 한다. 감상자들도 내 작품을 보고 많은 감상과 느낌을 받아 가길 바란다"고 설명했다.

 

◆답답할 때일수록 국민에게 전시로 힘이 되고 싶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으로 인해 대부분의 미술관과 갤러리가 전시를 취소한 상태지만 손태선 작가는 꿋꿋하게 초대전을 준비했다. 주변에서도 이번 초대전을 말렸다고 한다.

 

손 작가는 "이번 코로나 19여 파로 나도 오랜 시간 집에 머물렀다. 직접 경험해 보니 너무 답답하고, 모든 전시가 취소돼 갈 데도 없어 아쉬웠다. 이럴 때일수록 내가 국민에게 힘이 돼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그림' 초대전으로 국민이 위로받기를 바라는 마음에 강행하게 됐다"고 밝혔다.

 

코로나 19에 대한 걱정은 없냐는 질문에 "미술 전시회는 사람이 많이 붐비는 곳이 아니다. 시간대별로 전시회 방문 예약을 받고 있다. 최대한 동선이 겹치지 않게 조정해 코로나 19로부터 안전하게 하기 위해서다. 잠시나마 코로나 19에 대한 두려움을 잊고 위로를 받고 가시길 바란다"고 답했다.

 

한편, 손태선 작가의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그림' 초대전이 강남구 삼성로 716 갤러리41에서 오는 26일까지 열린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