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코로나발 긴축경영확산...호텔·패션계 임원 급여 확 줄였다

코로나19사태가 장기화되면서 패션·화장품업계 매출부진 및 실적악화가 발생했다. /조효정 기자

신종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사태 속 직격탄을 맞은 호텔·패션·뷰티를 비롯한 유통업계 기업 임원들이 솔선수범해 급여 반납에 나섰지만 직원 사기 저하 우려로 긴축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부 임원 급여 반납…위기의식 드러내

 

코로나19 여파로 주가지수가 떨어지고 회사채 시장마저 경색되자, 업계에서는 매출급감으로 현금흐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단 우려에 선제적 비용 절감 조치를 단행하고 있다. 코로나19 종식 후에도 업황 회복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고 비상 경영 체제로 전환한 것이다.

 

코로나19 확산으로 패션 업계 처음으로 일부 업체에서 임원 또는 직원 급여를 자진 반납하기로 했다. 패션·뷰티 등 소비탄력성이 높은 업종의 경우 소비심리 위축이 장기화할수록 매출 타격이 클 수밖에 없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레저업계의 위축이 결국 패션·뷰티 소비재의 수요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오규식 LF 대표이사 부회장은 지난 16일 자신의 명의로 직원들에게 발송한 이메일에서 대표 이하 임원 30여 명 급여의 30%를 자진 반납한다고 밝혔다. 이는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비상경영의 일환이다. LF가 경영위기를 이유로 임원의 급여를 반납한 것은 지난 2006년 LG상사로부터 분할된 후 처음이다.

 

패션·뷰티 업체들은 LF가 임원 급여 자진 반납을 먼저 결정한 것을 계기로 업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에 소비심리 위축으로 매출이 급감하면서 증시도 급락한 되다가 현금 흐름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기업이 생길 수 있기에 위기의식은 고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패션·뷰티 업계의 자금 경색에 대비 필요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삼성물산·이랜드·아모레퍼시픽·LG생활건강 등 주요 패션·뷰티 업체들은 1분기 실적 윤곽이 드러난 뒤에 긴축경영 결정이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LF가 1분기가 마감되기도 전에 선제로 임원 급여 반납을 비롯한 긴축 조처를 했기 때문에, 패션업계를 비롯한 소비재 업종에서는 유사한 대처를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사실상 개점 휴업상태인 호텔들도 예외가 아니다. 롯데호텔 임원들은 지난달 말 급여를 10% 반납하기로 했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 이달부터 3개월간 임원들은 기본급의 20%, 총지배인과 팀장 등의 리더는 직책수당을 반납하기로 했다.

 

코로나19 여파로 그랜드워커힐호텔은 지난 23일부터 다음달 22일까지 객실 영업만 임시 휴업하고 구성원 2부제 근무를 하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임원들이 먼저 나서 급여를 삭감하는 것은 현재 업계의 경영상 위기감을 드러내는 것"이라며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할수록 실적 부진을 해결하려는 기업은 인력 구조조정도 고려할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직원 사기 떨어질까 눈치

 

일부 회사에서는 임원의 임금은 삭감하되, 직원의 임금은 유지·상승하면서 사내 사기를 떨어뜨리지 않으려는 노력도 보인다.

 

오규식 LF 대표이사 부회장은 임원 임금은 자진 삭감하지만, 직원들의 임금인상은 계획대로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성과급 논란도 있었다. 화장품업계에 따르면 LG생활건강이 예정보다 3일가량 늦은 18일에 성과급을 지급하면서 일부 직원들이 불만을 드러냈다. 노사협의 과정에서 성과급 설명회 날짜가 늦춰지면서 지급 시기가 미뤄졌다. 사측은 코로나19가 확산한 시기에 많은 성과급을 지급할 경우 대외적인 이미지 타격 및 불매운동이 발생할 가능성을 우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올해 영업환경이 급속히 악화하고 있다"면서 "코로나 충격이 국내외 경제에 큰 타격을 주면서 화장품업계에 2020년 실적 훼손이 심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며, 현실화 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호텔업계도 긴축경영과 직원 사기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 것은 마찬가지다. 객실점유율(OCC)이 10~20%에 머물며 중소형 호텔들이 줄줄이 문을 닫는 가운데 주요 특급 호텔들도 휴업을 결정할 정도로 어려움이 크다. 5성급 그랜드워커힐호텔은 지난 23일부터 다음달 22일까지 객실 영업만 임시 휴업하고 구성원 2부제 근무를 하고 있다. 스타즈호텔 명동2호점이 내부시설 리노베이션을 겸해 휴업에 들어가는 등 서울 시내 4성급 호텔들이 1~2개월 휴업에 들어갔다.

 

호텔 업계에 따르면 일부 호텔에서는 코로나19에 따른 비상경영 차원에서 직원 무급휴가 권장했다가 직원들의 사기 저하 및 반발에 따라 유급휴가로 황급히 변경했다.

 

호텔 관계자는 "회사 차원에서는 비상 경영 체제 전환으로서의 긴축 경영과 직원 사기 관리 사이에서 갈등하고 있다"면서 "상황이 장기화할 경우 구조조정 및 전직원 임금삭감도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