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석유화학/에너지

롯데케미칼, 1Q20 영업손실 860억…"8년만에 적자전환"

롯데케미칼의 경영실적 추이./자료=롯데케미칼

롯데케미칼이 코로나19와 대산공장 사고 등의 영향으로 결국 적자를 면치 못했다.

 

롯데케미칼은 8일 올 1분기 매출 3조2756억원, 영업손실 860억원, 당기순손실 902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조6244억원에서 9.6% 감소하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2978억원, 2237억원에서 적자전환한 것이다. 영업이익은 2012년 2분기 이후 31분기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최근 들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글로벌 수요 감소와 대산공장 사고 등의 영향을 피하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롯데케미칼은 "올해 1분기는 작년 하반기부터 계속된 세계 경기둔화에 이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수요 하락으로 수익성이 감소했다"며 "지난 3월 발생한 대산공장 사고에 따른 일부 공장 가동 중단 영향과 해외 자회사 설비 보수에 따른 일회성 비용이1분기 손익에 반영됐다"고 말했다.

 

사업 부문별로는 기초소재사업에서 매출 2조413억원, 영업손실 524억원을 기록했다. 전반적인 수요 약세와 제품판가 하락, 대산공장 사고 영향으로 낮은 수익성을 나타냈다는 분석이다. 또한 첨단소재사업에서는 매출 8087억원, 영업이익 410억원을 기록했다. 분기 초 전기 및 전자 등 주요 전방 산업의 수요가 견조했으나 코로나19 확산으로 중국 시장의 수요가 위축되면서 수익성이 소폭 감소했다.

 

아울러 주요 자회사별로 롯데케미칼타이탄은 매출 4226억원, 영업손실 695억원을 기록했다. 납사크래커(NCC) 정기보수 진행에 따른 판매물량 감소와 수요 위축에 따라 낮은 수익성을 나타냈다. 또한 LC USA는 매출 1092억원, 영업이익 139억원을 기록했다. 에탄크래커(ECC) 보수에 따른 일회성 비용 반영 및 제품판가 하락으로 전분기 대비 수익성이 감소했다.

 

롯데케미칼은 "2분기에도 대외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나, 저가 원재료 투입 본격화 및 점진적인 수요 회복으로 수익성이 일부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대산공장 사고와 관련 안전 및 재발방지 대책 수립에 우선 순위를 두고 신중하게 복구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경쟁력 강화를 위한 체질 개선 노력을 통해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전환점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